Loading...

독일대안당 '극우단체 지정' 후폭풍…경찰관 193명 징계

독일대안당 '극우단체 지정' 후폭풍…경찰관 193명 징계
▲ AfD 선거 포스터

독일 정부가 독일대안당, AfD을 '우익 극단주의 단체'로 지정하면서 정치권을 넘어 공직사회로 후폭풍이 번지고 있습니다.

AfD가 반헌법적 조직으로 확인된 만큼 이 정당에 당적을 두거나 연관된 공무원들을 공직에 그대로 둬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로만 포제크 헤센주 내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경찰관과 행정 공무원들은 언제나 우리 자유민주주의 질서를 지키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AfD 소속 공무원에 대한 조사와 징계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오는 6일 연방정부를 인수하는 기독민주당, CDU의 로데리히 키제베터 의원은 "AfD 당적과 공직은 양립할 수 없다"며 AfD 소속 공무원을 해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6개 연방주 내무장관들은 다음달 회의에서 AfD 당원인 공무원을 어떻게 처리할지 논의할 예정이라고 주간 차이트가 전했습니다.

AfD 당원은 지난 2월 기준 5만 2천 명입니다.

독일에서는 이전부터 경찰을 중심으로 AfD나 극우 세력에 동조하는 공무원들이 인종차별 발언 등으로 말썽을 빚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주간 슈테른은 극우 또는 음모론 성향으로 조사·징계 절차를 밟고 있는 경찰관이 최소 193명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독일 국내정보기관인 연방헌법수호청, BfV은 전날 AfD가 자유민주주의 기본질서에 반하는 노선을 추구한다는 의심이 사실로 확인됐다고 판단해 AfD를 우익 극단주의 단체로 지정했습니다.

지금까지 극우 '의심단체'였던 감시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반헌법적 단체로 규정한 것입니다.

연방의회에서는 정당해산 청구 논의와 함께 AfD 소속 의원에게 상임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줄지를 두고 논쟁 중입니다.

AfD는 연방의회 630석 가운데 152석을 차지한 제1야당입니다.

예산위원회 등은 전통적으로 제1야당이 위원장을 맡았습니다.

CDU 소속 안드레아 린트홀츠 의원은 "모든 AfD 의원은 우리의 기본질서를 지키고 탈당할지, 극단주의 조직의 일원으로 남을지 결정해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

독일 주류 정당들은 AfD가 극우단체로 지정되기 전부터 모든 사안에서 협력하지 않는다는 이른바 '방화벽 원칙'을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의회에서 AfD 입지가 갈수록 넓어지면서 이 원칙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 논란이 일던 차였습니다.

앙겔라 메르켈 정부에서 보건장관을 지낸 옌스 슈판 CDU 원내부대표는 지난달 "독일인 수백만 명이 AfD에 투표한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며 절차적 측면에서 AfD를 다른 정당과 똑같이 대하자고 제안했다가 당 안팎에서 여론의 뭇매를 맞았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25 국민의 선택 대선 특집 바로 가기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