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물량이 수출입 물동량 감소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5% 넘게 줄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1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컨테이너 화물과 비 컨테이너 화물을 합쳐 처리한 물량은 3억 7천369만t(톤)으로 작년 동기(3억 9천622만t)보다 5.7% 감소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1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3억 2천25만t으로 5.3% 줄었고, 연안 물동량도 5천343만t으로 8.0% 감소했습니다.
항만별 물동량은 부산항이 4.5% 증가했으나 광양항과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9.1%, 5.1%, 9.1%, 4.2% 감소했습니다.
1분기 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794만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로 2.1% 늘었습니다.
이 중 수출입 물동량은 428만TEU로 1.5% 감소했습니다.
일본(8.8%)과 중국(1.0%), 베트남(2.8%)은 늘었지만, 러시아와 미국이 각각 23.8%, 0.9% 줄어든 탓입니다.
다만 환적 물량이 6.7% 늘어난 362만TEU를 기록하면서 전체 물동량 증가를 이끌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습니다.
컨테이너 물동량을 주요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은 4.0% 증가한 626만TEU로 1분기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부산항 수출입은 0.5% 줄고 환적은 미국과 중국의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7.8% 늘었습니다.
인천항은 수입 감소 여파로 8.4% 줄어든 80만TEU를 처리했습니다.
광양항이 처리한 수출입 물동량은 44만TEU로 미국과 중국의 증가 영향으로 8.6% 늘었습니다.
다만 환적 물동량은 글로벌 해운 동맹 재편에 따른 주요 글로벌 선사의 기항 서비스 조정에 따라 29.3% 감소했습니다.
1분기 비 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모두 2억 3천660만t으로 10.3% 줄었습니다.
광양항에선 원유와 유연탄, 석유정제품 등 물동량이 전부 줄어 작년 동기보다 10.1% 감소한 5천488만t을 처리했습니다.
울산항에서도 원유와 석유정제품, 차량과 부품 등 물동량이 모두 줄었고, 평택·당진항과 인천항에서도 전체 물동량이 각각 5.6%, 11.1% 감소했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와 광석, 자동차, 유연탄이 각각 7.9%, 9.0%, 1.0%, 28.2% 줄었습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글로벌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환적 물동량이 늘어나 1분기까지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세가 나타났다"며 "시장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수출입 물류에 차질이 없도록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분기 전국 무역항 물량 6% 감소…"수출입 감소 영향"
입력 2025.04.29 12:06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