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통신사 갈아타자' SKT, 정보 유출 우려에 가입자 큰 폭 이탈

'통신사 갈아타자' SKT, 정보 유출 우려에 가입자 큰 폭 이탈
▲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28일 서울 시내 한 SKT T월드 매장 앞에 유심 재고 소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한 SK텔레콤에서 해킹 사고 이후 가입자가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오늘(2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SK텔레콤 가입자 1천665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했습니다.

KT로 이동한 가입자가 1천280명,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가입자가 385명입니다.

알뜰폰으로 이동한 이용자까지 합치면 이탈자는 더욱 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텔레콤은 가입자가 이통 3사 중 가장 많은 2천300만 명인 만큼 평소에도 가입자가 늘기보다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러나 이달 들어 가입자 이탈이 많은 날도 그 수가 200명을 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가입자가 1천 명 이상 이탈한 것은 해킹 사고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오늘은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려는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번호 이동에 필요한 동의를 받는 SK텔레콤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려 해당 업무가 중단됐다는 소문도 온라인상에서 떠돌았습니다.

그러나 SK텔레콤은 이 같은 전산 오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유심과 번호 이동 등 문의 고객이 몰리면서 SK텔레콤 고객센터가 연결에 난항을 빚고 있는 것은 맞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SK텔레콤 대리점과 판매점들은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다른 통신사에서 자사로 이동하는 고객에게 큰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최신 플래그십 제품 갤럭시 S25 기본 모델은 다른 통신사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 이동 시 현금 완납 기준 5만 원대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일부 판매점에서는 갤럭시 S25가 '공짜폰'으로 풀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영업 실적을 우려한 일부 대리점, 판매점들이 기존 유심을 무상 교체 서비스에 이용하지 말고 최대한 판매 건 위주로 사용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심을 교체하지 못한 이용자들이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이 같은 판매 정책에 대해 "단통법은 7월 말 폐지 예정으로 아직 살아있기 때문에 관련 규정 위반 여부가 있을 경우 휴대전화 유통점에 대해 조사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통신사들이 자율 규제에 따라 모니터링 중이며, 문제 발견 시 판매점에 대한 사전 승낙 철회, 영업 정지 등 제재를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