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늘(24일) "위기 대응에는 정책의 내용만큼이나 이를 추진하는 타이밍 또한 너무나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정부 재정이라는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이들에게 닿아야 할 시점은 바로 지금"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 대행은 "산불 피해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에게는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희망이 간절하고, 글로벌 경쟁이라는 거센 파도 속에서 우리 산업과 기업이 좌초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하루하루 점점 더 힘겨워지는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삶의 무게를 덜어드릴 실질적인 지원이 바로 당장 필요하다"고 역설했습니다.
한 대행은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위기를 언급하면서 "그 극복 과정에는 정부와 국회가 긴밀하게 소통하며 협력했던 진정성 있는 노력이 있었고, 이러한 노력을 국민께서는 아낌없이 지지하고 응원해 주셨다"고 말했습니다.
한 대행은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이 국민께 든든한 힘이 되어 드리고 우리 경제의 회복과 도약에 소중한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제출한 추경안을 조속히 심의·의결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습니다.
이어 "정부도 국회 심의 과정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검토하면서 심의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집행 계획을 철저히 마련해 추경안이 통과되는 즉시 현장에 온기가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지난 21일 12조 2천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재해·재난 대응에 약 3조 2천억 원, 통상 및 인공지능(AI) 지원에 약 4조 4천억 원, 민생 안정 분야에 약 4조 3천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한 대행은 "현장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효과성이 높은 필수 사업을 위주로 선별해 편성했다"며 "이 과제들에 제때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재정의 적기 투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날 밤 시작되는 '한미 2+2 통상 협의'를 거론한 뒤 "국익이 최우선이라는 원칙하에 무역 균형·조선·액화천연가스(LNG)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는 합의점을 모색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할 때 하는 시정연설을 대통령 권한대행이 한 것은 1979년 11월 당시 권한대행이던 최규하 전 대통령 이후 46년 만입니다.
한 대행은 '대선 출마설'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추경이 경제 회복 마중물"…출마설엔 '침묵'
입력 2025.04.24 10:41
수정 2025.04.24 11:02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