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수사로 사실상 중단했던 채 해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수사를 5개월 만에 재개합니다.
공수처는 내일(23일) 오전 핵심 피의자 중 한 명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참관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공수처 관계자는 오늘 정부과천청사 정례브리핑에서 "박정훈 대령 관련 재판 1심 결과가 나오면서 수사를 안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절차를 진행해야겠다는 수사팀 판단에 따라 포렌식 참관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순직 사고 조사 과정에서 항명 등 혐의로 기소된 박 전 대령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항소심 재판이 시작된 점을 수사 재개 배경으로 뒀단 설명입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압수수색을 통해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으나, 임 전 사단장 측이 비밀번호를 알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잠금을 풀지 못했습니다.
공수처 관계자는 "지난해 8월 경찰에 (잠금 해제를 위한) 수사를 맡겼고, 여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1년 넘게 걸리는 경우도 있고 안 풀리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비밀번호 해제 여부에 대해선 말을 아꼈습니다.
임 전 사장은 내일 출석해 휴대전화 포렌식에 참관할 예정인데, 일반적으로 포렌식 참관 절차가 끝나면 압수물을 반환하게 되어 있어 임 전 사단장이 휴대전화를 돌려받을 수도 있습니다.
공수처는 수사 인력 대부분이 동원된 비상계엄 사건 수사와 해병대원 수사를 병행할 뜻도 내비쳤습니다.
이 관계자는 "비상계엄 TF 소속 검사 1인당 맡고 있는 사건이 2개가 넘는다"며 "그런 부분이 어느 정도 진행됐다고 판단하면, 채 해병 수사도 같이 할 수 있는 것이라 결과적으로 병행으로 보셔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공수처가 수사를 재개하면서, 채 해병 순직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인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이른바 'VIP 격노설'을 둘러싼 조사도 속도를 낼 지 주목됩니다.
한편, 공수처는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의 1차 공판 촬영을 허락하지 않은 지귀연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가 고발된 사건을 수사 3부(부장검사 이대환)에 배당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