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는 오늘(21일) 검찰청을 폐지하고,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후보는 오늘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이 같은 내용의 사회·정치·외교·안보 분야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김 후보는 "정치 검찰을 폐지하고 검찰의 수사·기소 기능을 명확히 분리하겠다"며 "사법개혁 핵심은 국민의 기본권과 정의로운 사회로, 권력기관이 국민을 위한 기관이 되도록 개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는 검찰 기능을 중앙수사청과 기소청으로 이원화하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규모와 권한은 대폭 늘리겠다고 공약했습니다.
통일부는 '평화·협력부'로 전환하고 여성가족부는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는 또한 중위소득 40%의 최저 소득을 모든 국민에 보장하는 '국민 기본생활 보장제도'도 약속했습니다.
김 후보 측은 기본생활 보장제의 소요 재정과 관련 "22조3천억 원 정도의 추가 재정이 필요하나 기존 소득 보장 제도와의 역할 조정 등까지 고려하면 약 14조2천억 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제기한 기본소득 예산이 28조 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고 부연했습니다.
군(軍)과 관련해선 징병과 모병 혼용제 개편을 약속했습니다.
김 후보는 "상비 병력 규모를 35만 명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부족한 징집 인원을 모병으로 확보하는 징·모병 혼용제를 즉각 추진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김 후보 측은 징·모병 혼용으로 총병력을 2035년까지 35만 명으로 감축하면 국방비는 현재보다 3조 원이 줄어든다고 설명했습니다.
방첩사령부를 해체해 정보·보안 기능을 국방부와 합참으로, 방첩 기능을 각 부대에 이관하도록 하는 방안도 공약했습니다.
정치개혁과 관련해선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약속하고, 정당 간 공동 공약 제안 및 연정 협약 체결을 허용하는 연합공천제 도입도 제언했습니다.
아울러 형사 소추된 국회의원에 대한 신속 재판제도 도입, 체포·구속 시 세비 지급 중단, 대통령 권한대행 승계를 국무총리→국회의장→부총리→국회부의장 등의 순서로 행정부와 입법부가 돌아가며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이해 충돌 시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및 사면권 제한 등도 제안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김경수 "검찰청 폐지…통일부는 '평화·협력부'로 전환"
입력 2025.04.21 10:29
수정 2025.04.22 14:13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