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선캠프에서 활동한 걸로 알려진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대선 이후 치러졌던 2022년 지방선거 당시 공천을 청탁한 정황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저희 취재 결과, 검찰은 전성배 씨가 당시 대통령과 가깝다고 꼽혔던 국민의힘 의원 3명에게 공천 부탁을 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 씨가 추천한 사람은 4명이었고, 2명은 실제 당선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첫 소식, 전연남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전연남 기자>
대선 석 달 뒤 치러진 2022년 6월 제8회 지방선거.
검찰은 국민의힘 공천 과정에서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친윤계 의원들에게 최소 4명의 공천을 부탁한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경북과 경남 군수 후보 1명, 경기도 시장 후보 1명, 경북 도의원 후보 1명입니다.
검찰은 우선 전 씨가 경북과 경남,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장 후보를 추천한다며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에게 보낸 사진과 이름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확보했습니다.
전 씨는 검찰 조사에서 "윤 의원과 친한 사이인 친윤계 A 의원에게 부탁하려던 것"이라며 "공천 부탁이 아니라 좋은 사람을 추천한 것"이라고 진술했습니다.
전 씨가 당시 A 의원에게 직접 보낸 문자메시지도 검찰은 확보했습니다.
경북 지역 군수 후보의 이름과 이력이 적힌 이 메시지는 2022년 4월 13일에 작성됐습니다.
전 씨는 검찰 조사에서 "A 의원에게 후보 추천을 하며 격려해주라고 한 적이 있다"고 진술했습니다.
전 씨가 윤한홍 의원에게 보낸 또 다른 문자메시지에는 윤 의원과 A 의원, 또 다른 친윤계 B 의원에게 인사 부탁을 했는데 "1명은 들어갔고 2명은 확정이 안됐다"며 항의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전 씨도 검찰에서 세 의원과 개인적인 친분이 있어 항의한 적이 있다고 진술했습니다.
당시 전 씨가 추천했던 4명 가운데 2명은 공천을 받고 당선됐습니다.
당선된 인사들은 SBS에 "건진법사를 알지 못한다"며 "선거 전후로 윤한홍 의원이나 A 의원과 연락한 적도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검찰은 이들 외에도 전 씨가 대구 구청장 후보와 경북의 한 시장 후보로부터 "공천을 도와달라"는 취지의 문자메시지를 받은 사실도 확인하고 2022년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 전 씨가 어떻게 개입했는지를 수사하고 있습니다.
윤한홍 의원은 오늘(18일) 입장문을 내고, 당시 전 씨의 공천 요구나 인사 청탁을 들어줄 위치에 있지 않았다며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영상편집 : 최진화)
---
<앵커>
방금 보신 것처럼 전성배 씨에게 공천 청탁을 받은 정황이 포착된 국민의 힘 윤한홍 의원이 최근 검찰의 서면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저희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한창 수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해 말, 전 씨 측과 윤한홍 의원이 같은 날 휴대전화를 해지하거나 바꾼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이 내용은 신용일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신용일 기자>
검찰은 최근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에게 12장짜리 서면 진술서를 발송했습니다.
앞서 검찰은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윤 의원에게 부탁해 공천을 줄 수 있다"며 지방선거 예비후보자들에게 돈을 요구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는데, 검찰은 서면 조사에서 윤 의원이 실제 공천 청탁을 받았는지, 돈이 오간 건 없는지 집중 캐물었습니다.
윤 의원은 서면 조사에서 "건진법사를 아느냐"는 질문에 "네"라고 답변했습니다.
윤 의원은 "전 씨와 언제 알게 됐는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며 "무속인이라는 소문을 듣고 찾아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1년에 한두 번 정도 세상 돌아가는 일, 사적인 인생상담을 위해 찾아갔다"고 전 씨와의 관계를 진술했습니다.
지난해 12월 2일부터 12일까지 다섯 차례 통화한 이유를 묻는 질문엔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등에 대해 주로 이야기를 나눴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윤 의원은 지난 2018년 경북 영천시장 예비후보로 출마했던 A 씨는 모르는 사람이고, 전 씨로부터 공천을 도와달라는 전화도 받은 사실이 없다고 진술했습니다.
전 씨의 혐의인 공천 헌금 관련 질문들에 대해서는 '해당 없음'이라고 전면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수사가 진행 중인 지난해 말, 전 씨 측과 윤 의원이 같은 날 휴대전화를 해지하거나 교체한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전 씨와 그의 아내가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해지한 뒤 새로 가입한 지난해 12월 30일, 윤 의원도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해지한 사실을 확인한 겁니다.
검찰은 윤 의원이 21대 총선 당선 이후 4년 6개월간 사용해 온 휴대전화를 돌연 이날 해지한 경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 날 전 씨의 처남 김 모 씨도 10년 넘게 쓰던 휴대전화를 교체한 정황을 파악했는데, 이를 증거 은닉 시도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디자인 : 최진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