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5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대형 땅꺼짐 현장의 모습
땅 꺼짐 사고가 잇따르며 시민 불안이 커가는 가운데 서울시가 지하 굴착 공사 안전 감찰에 나섭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 재난안전정책과와 자치구 지하 안전 담당 부서, 자치구 건축가, 외부 전문가 등은 지난 15일 굴착 건축 공사장 감찰에 들어갔습니다.
5월 15일까지 5주간 감찰을 진행합니다.
지하 안전 평가 대상이며 20m 이상 굴착하는 공사장 17곳, 그리고 10∼20m 굴착하는 공사장 23곳이 감찰 대상입니다.
감찰은 실지 감찰, 표본 감찰, 시·자치구 협업 감찰로 진행됩니다.
시는 현장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데이(One-Day)' 합동 안전 점검을 벌입니다.
중대한 사항이 적발될 경우 행정 처분을 할 계획입니다.
또, 시와 강남구에 따르면 현재 서울 시내 지하 개발 사업장은 모두 536곳에 달합니다.
강남구가 84곳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가 57곳, 중구가 42곳, 영등포구가 38곳, 성동구가 32곳, 강서구 31곳입니다.
마포구는 24곳, 용산구와 송파구가 각 22곳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어 동대문구, 은평구, 금천구가 각 18곳, 동작구가 17곳, 구로구가 16곳, 종로구와 강동구가 각 14곳, 광진구 13곳, 성북구와 관악구가 각 11곳, 노원구가 10곳, 중랑구가 8곳, 강북구가 7곳, 서대문구가 5곳, 도봉구와 양천구가 2곳씩입니다.
한편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는 지난 17일 영등포구 신안산선 철도 건설 구간 인근 도로에서 공동(空洞) 조사·복구 현장을 시찰하고 지반 침하 사고에 대한 예방 대책을 점검했습니다.
점검은 시가 추진 중인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한 공동 탐지와 복구 시스템의 실효성과 보완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이뤄졌습니다.
강동길 도시안전건설위원장은 "서울시가 보유한 GPR 장비 7대와 민간 용역 장비 8대(자치구 민간 용역 장비 36대 별도 운용) 운용만으로는 광범위한 도심 지역을 촘촘하게 점검하기에 한계가 있다"며 "전문 인력 확충과 장비 충원 등으로 조사 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