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이 정도였어?"…'흥행 대박' 프로야구, 10개 구단 수익 살펴보니 [스프]

[야구수다] 10개 구단 재무제표 분석
지난달 23일 2025 KBO 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경기가 열린 서울 잠실야구장에 관중들이 들어차 있다. (사진=연합뉴스)
 

SBS 스포츠취재부 야구조 기자들이 매주 색다른 관점으로 야구를 들여다 봅니다.
 

지난해 KBO리그는 사상 최초로 1,000만 관중을 돌파하며 신기록을 썼습니다. 이전 최고 기록인 2017년(840만 688명)을 200만 명 이상 뛰어넘는 엄청난 흥행 돌풍이었습니다. 이런 추세가 특정 구단, 특정 시기에 편중된 것도 아니었습니다. 10개 구단 전부가 일일 평균관중 1만 명을 넘겼고, 혹서기라 할 수 있는 7월과 8월에도 평균관중 1만 명의 벽은 깨지지 않았습니다.
▷ 관련 기사 : 평일도 1만 관중 이상... 특이점을 넘어선 듯한 '야구 직관'의 폭증 이유는?

사람이 몰리는 곳에는 당연히 돈이 몰리기 마련입니다. 한국 프로스포츠 역사상 가장 많은 관중을 동원한 지난해 프로야구에도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까요? 이번 <야구수다>에서는 10개 구단의 감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지난해 10개 구단이 벌어들인 돈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체 매출' 1년 만에 20% 증가
지난해 10개 구단의 매출 총합계는 6,825억 원이었습니다. 2023년 6,147억 원을 기록한 것에 비해 1년 만에 11% 증가했고, 코로나 직전인 2019년에 비해서도 32%가 올랐습니다. 지난해 준우승 팀 삼성 라이온즈가 840억 원의 매출을 올려 1위에 올랐고, 가장 낮은 매출을 기록한 구단은 450억 원의 키움 히어로즈였습니다.
이런 매출 성장세가 놀라운 건, 야구단 수입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모기업의 지원금이 2023년에 비해 오히려 줄어든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2023년 2,324억 원에 달했던 9개 구단의 모기업 지원금 총액은 지난해 2,243억 원으로 3% 줄었습니다. 하지만 전체 매출에서 모기업 지원금을 뺀 금액, 이른바 구단의 '자체 매출'은 2023년 3,823억 원에서 지난해 4,581억 원으로 20% 증가했습니다.
야구의 인기가 올라가고, 프로야구에 돈이 몰리면서 야구단의 모기업 지원금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가 확인됐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전체 매출의 71%를 모기업 지원금으로 버텨내야 했던 KIA 타이거즈는 올해 모기업 지원금 비율을 14%까지 극적으로 낮췄고, 창단 이후 내내 40~50%대의 모기업 지원금 비중을 기록했던 NC 다이노스도 지난해 그 비율을 23%로 떨어뜨렸습니다. 두 구단의 모기업 지원금은 히어로즈가 키움 증권과 맺은 네이밍 스폰서십 비용, 1년에 110억 원과 비슷한 정도의 수준입니다.

물론 모기업 지원금이 줄어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1,000만 관중 시대에서 야구단을 거느린 기업들이 누리는 광고 홍보 효과를 감안할 때 현재의 지원금을 결코 많은 액수라고만은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프로야구단들의 수익 창출 수단이 다변화되고 그 구조가 단단해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수입 다변화의 비결은 입장 수익, 그리고 굿즈
구단들의 매출 다변화를 이끌고 있는 건 뭐니 뭐니 해도 '천만 관중'을 등에 업은 입장 수익의 증가세입니다. 지난해는 사상 최초로 1천만 관중을 동원한 해인 동시에, 사상 최초로 정규시즌 티켓 수입 합계가 1,500억 원을 돌파한 해이기도 했습니다. 10개 구단 시대가 시작된 2015년 731억 원의 입장수익을 거뒀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어난 겁니다.
2015년 가장 높은 입장수익을 올린 두산 베어스의 매출이 110억 원 정도였는데, 지난해 입장 수익 최하위인 KT 위즈의 매출이 118억 원에 달했습니다. 그야말로 상전벽해입니다.
구매력이 높은 젊은 팬들이 다수 유입되면서, 자연스레 상품매출, 이른바 '굿즈' 판매도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 관련 기사 : 한국만 유독 달랐다... 야구는 '아재들의 스포츠' 아니었네?

2015년 3억 4천만 원 정도에 불과했던 NC 다이노스의 상품매출은 지난해 67억 원을 기록하며 무려 19배로 성장했습니다. 2015년 18억 원 정도였던 롯데 자이언츠의 상품 매출도 지난해 40억 원을 돌파하며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