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올해는 부동산보다 금"…부자들, 불경기 안전자산에 눈 돌린다

"올해는 부동산보다 금"…부자들, 불경기 안전자산에 눈 돌린다
올해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한 부자들이 예금, 금, 채권 등 안전자산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40대 이하 부자 '영리치'는 해외주식과 가상자산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가상자산의 변동성을 우려하면서도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부자의 금융행태를 분석한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를 오늘(16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는 3천10명(부자 884명·대중부유층 1천545명·일반대중 581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프라이빗 뱅커(PB)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됐습니다.

부자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대중부유층은 1억 원 이상∼10억 원 미만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부자 중 74.8%는 올해 실물 경기가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도 63.8%였습니다.

부자들은 경기 전망이 어두운 만큼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에도 소극적이었습니다.

향후 1년 자산구성 계획과 관련해 현재와 동일하게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65.7%였습니다.

조정 의향이 있는 경우에는 부동산보다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15.2%)는 응답이 금융자산 비중을 줄이고 부동산 비중을 늘리겠다(8.4%)는 응답보다 많았습니다.

부자들은 올해 수익성보다 안정성에 무게를 둘 것이라며 투자 의향이 있는 자산으로 예금(40.4%)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32.2%)과 채권(32.0%)이 2, 3위를 차지했고 상장지수펀드(ETF)(29.8%), 주식(29.2%)이 뒤를 이었습니다.

부동산은 20.4%로, 조사 대상 12개 자산 중 8위에 머물렀습니다.

부자의 부동산 매수 의향은 2024년 50%에서 올해 44%로 줄었으며 추가 매입 의향 역시 42%로, 전년(49%)보다 낮아졌습니다.

다만 연구소는 "올해 부동산 투자 관심도가 떨어졌다고 해도 부자의 부동산 매수 의향(44%)은 일반대중(37%)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라며 "부자는 부동산에서 또 기회를 찾으며 때를 기다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부자 자산 운용계획

40대 이하 '영리치'는 최근 5년간 연평균 6% 늘어 50대 이상 올드리치(연평균 3%)보다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영리치의 평균 자산은 60억 원대, 이중 금융자산은 절반 정도인 30억 원 수준이었습니다.

영리치의 투자 특징으로는 주식과 가상자산에 적극적이라는 점입니다.

영리치의 주식 보유율은 78%로, 올드리치(66.4%)의 약 1.2배 수준이었습니다.

특히 전체 주식 중 해외주식 비중이 약 30%로 올드리치(20%)보다 높았습니다.

영리치들은 올해 해외주식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가상자산 보유율은 29%로, 금융상품 중 가장 낮은 수준이기는 했지만 올드리치(10.0%)의 3배 수준이었습니다.

영리치 투자성향

가상자산 투자 방식과 투자자산으로서의 인식도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중부유층과 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가상자산 보유 비중은 2022년 12%에서 2024년 18%까지 늘었습니다.

과거 가상자산을 보유했던 14%까지 더하면, 부유층 응답자 3분의 1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한 경험이 있는 셈입니다.

가상자산 평균 투자액은 약 4천200만 원이었으며, 투자자 중 34%는 4종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투자방식 역시 목돈을 한 번에 투자하기보다 수시로 매입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가상자산 인식과 관련해서는, 설문 응답자의 약 70.4%가 '변동성이 도박처럼 커 위험하다'고 답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하나금융연구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