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유통돼 온 반려동물 영양제 가운데 상당수가 사실상 '맹탕'이거나 기능성 원료 함량을 크게 부풀려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반려동물 영양제 20종을 조사해 본 결괍니다.
이중 한 제품은 반려동물 관절에 좋다는 글루코사민 성분이 1그램당 30밀리그램 담겼다고 표기했지만, 해당 성분이 전혀 없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L테아닌, 눈 건강을 위한 아스타잔틴, 면역력을 높인다는 진세노사이드 같은 기능성분이 담겼다고 표시한 또다른 제품 7종은 기능성 원료 함량이 표기량의 1에서.. 38%에 불과했습니다.
비타민A와 D가 원료로 사용됐다고 표기한 영양제는 모두 17종이었는데, 이중 4종엔 비타민 A와 D 둘 다 없었고, 7종에선 비타민 D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한 제품에는 함량이 2ppm 이하로 제한되는 셀레늄 성분이 6ppm이나 들어있었습니다.
셀레늄 성분은 과잉 섭취할 경우 구토, 설사, 털 빠짐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비자가 오인하게 만드는 부당 광고도 다수 적발됐습니다.
소비자원이 반려동물 영양제의 온라인 판매페이지 광고 100건을 조사한 결과, 이중 3분의 2를 넘는 67건이 과학적 근거 없이 반려동물의 질병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고 있었습니다.
반려동물 식품 시장이 2028년까지 2조 5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시장 신뢰도는 아직 꾸준히 늘어나는 수요를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심성보/한국소비자원 안전감시국 팀장 : 농림축산식품부에 반려동물 영양제 기능성 원료의 관리 방안 마련과 표시 광고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소비자원은 기능성 원료가 부족하거나 불검출돼 문제가 된 사업자에게 품질 개선을 권고하고, 부당 광고 게시자는 광고를 수정 또는 삭제하게 했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 유덕기, 영상편집 : 윤태호, VJ : 김건,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D리포트] 반려동물 영양제 '맹탕'?…"기능성 원료 아예 없는 제품도"
입력 2025.04.15 16:33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