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땅이 꺼질 수도 있는지, 그 위험도를 알기 위해 땅속을 일일이 열어볼 수가 없다보니, 많이 쓰는 게 GPR, 지표 투과 레이더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 몸 초음파 검사하듯, 지하로 전자파를 쏴서 땅속의 빈 공간을 탐지한다고 보면 되는데요. 시민 불안이 커지자, 서울시가 위험지역 우선순위를 나눠서, GPR 탐사를 집중시행한다고 했는데, 한계도 있습니다.
윤나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구청 직원들이 도로에 빨간 잉크를 붓습니다.
하수관로에 누수가 있는지, 우선 눈으로 확인하는 겁니다.
[한상길/서울 마포구 도로개선과장 : 관로가 좀 오래 사용하다 보니까 노후가 돼서 누수나 파손될 경우에 그 싱크홀 우려가 있기 때문에.]
GPR 장비로 도로를 훑으며 땅속도 살핍니다.
이 GPR 장비의 안테나, 안테나에서 지하로 레이더(전자파)를 쏴서 지하의 비어 있는 공간을 탐사하게 됩니다.
탐사 가능한 깊이는 약 3m 안팎입니다.
서울시는 우선 신안산선과 GTX 등 관내 철도건설공사 구간 다섯 곳, 49.3km 구간에서 GPR 집중 탐사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깊은 땅속은 탐사가 안 된다는 겁니다.
[최명기/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 : (신안산선) 같은 경우에도 터널이 있잖아요. 땅 밑에 한 20m 또는 30m 정도가 되기 때문에 그런 것들은 확인이 곤란하죠. GPR로는요.]
서울시는 땅속에 센서를 부착한 관측정을 매설해, 지반이나 지하수 변화를 추적하는 '지반 침하 관측망'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 기술로는 지하 20m까지 감지가 가능한데, 탐지 반경이 50m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시내 181개 도로를 대상으로 '지반 침하 안전 지도'를 완성했지만 불안을 부추길 수 있다며 비공개 방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권오돈/서울 대흥동 : 길에 다니기가 너무 겁나고, 미리 대충 알려주면 덜 불안하고 생활하는 데 불편 없을 것 같습니다.]
[김예찬/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활동가 : 어디가 위험한지에 대해서 미리 알려줘야지 거기에 대해서 대책을 요구를 할 거 아닙니까. 사고가 난 뒤에 계속 이렇게 뒷북만 치면은 도대체 지자체가 왜 존재하냐는 거죠.]
서울시는, 현재 진행 중인 GPR 긴급 점검 결과는 나오는 대로 공개하기로 했는데, 안전관련 정보는 더 폭넓은 공개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한결,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