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늘(14일) 발표한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 대금 결제 가운데 84.5%가 달러로 이뤄졌습니다.
이외 통화의 비중은 ▲ 유로 6.0% ▲ 원 2.7% ▲ 엔 2.0% ▲ 위안 1.5%로 집계됐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달러가 1.4%포인트(p) 늘어난 대신 유로, 원, 엔, 위안은 각 0.8%p, 0.2%p, 0.3%p, 0.2%p 줄었습니다.
특히 엔화 비중 2.0%는 역대 가장 작았습니다.
김성준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달러 결제 비중이 큰 반도체·컴퓨터 주변기기·선박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면서 전체 달러 결제 비중도 커졌다"며 "엔화 결제 비중은 기계류·정밀기기, 철강제품 등을 중심으로 줄었는데, 중장기적으로는 일본과의 교역 규모 자체가 감소하는 데 영향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일본 수출액은 2011년 396억 8천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어 지난해 296억 1천만 달러에 그쳤습니다.

수입 결제 대금의 통화별 비중은 ▲ 달러 80.3% ▲ 유로 5.7% ▲ 원 6.3% ▲ 엔 3.7% ▲ 위안 3.1%였습니다.
1년 사이 달러, 유로, 원, 엔이 각 0.2%p, 0.1%p, 0.3%p, 0.1%p 줄었고 위안만 0.7%p 늘었습니다.
엔 비중은 수출과 마찬가지로 최소 기록이지만, 반대로 위안 비중은 6년 연속 늘어 다시 최대치를 갈아치웠습니다.
김 팀장은 "통상 달러로 결제되는 원자재 중심으로 수입이 감소하면서 달러 수입 결제 비중이 다소 줄었다"며 "위안화의 경우 반도체·철강제품·자동차부품 등을 중심으로 수입 결제가 늘었고 중국과의 교역이 수입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증가하면서 위안의 수입 결제 비중도 역대 가장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