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LH 작년 영업이익 3,404억원…전년 대비 679% 증가

LH 작년 영업이익 3,404억원…전년 대비 679% 증가
▲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3,404억 원으로 전년보다 3천억 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매출액과 순이익도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작년 실적이 전반적으로 개선됐으나 부채도 1년 새 7조 2천억 원 불어났습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LH는 지난 2월 말 이사회를 열어 '2024 회계연도 결산안'을 의결했습니다.

결산안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은 3,404억 원으로 전년(437억 원) 대비 678.9% 증가했습니다.

매출액은 15조 5,722억 원으로 전년(13조 8,840억 원)보다 12.1% 증가하고, 순이익은 7,608억 원으로 전년(5,158억 원) 대비 47.5% 늘었습니다.

이로써 2023년 급감했던 영업이익이 다소 회복됐습니다.

LH의 영업이익은 부동산 경기 활황으로 토지 및 주택 판매 실적 급증한 데 힘입어 2018년 2조 6,136억 원, 2019년 2조 7,827억 원, 2020년 4조 3,346억 원, 2021년 5조 6,486억 원 등으로 해마다 증가했으나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면서 2022년에는 1조 8,128억 원으로 감소했습니다.

2023년에는 437억 원으로 41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LH는 지난해 실적이 개선된 배경에 대해 "매출이익률이 높은 공동주택용지 등의 공급이 증가하고 공공분양 입주 물량도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적이 전반적으로 개선됐으나 부채는 160조 1,055억 원으로 1년 새 7조 2천억 원가량 늘어나는 등 재무 구조는 해가 갈수록 나빠지고 있습니다.

LH의 총부채는 2021년 138조 9천억 원, 2022년 146조 6천억 원, 2023년 152조 9천억 원 등으로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LH가 관리하는 임대주택 수 증가와 함께 정부의 대규모 공공주택 사업을 LH가 수행하는 것이 이러한 재무 구조 악화의 배경으로 손꼽힙니다.

LH는 건설사 등에 토지를 팔아 번 돈으로 임대주택 손실을 메우는 구조지만, 건설 경기 위축으로 최근 수년간 토지 판매가 예전 같지 못한 상황입니다.

2월 말 열린 이사회 회의록에 따르면 결산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재무적 영향 검토 및 부채관리계획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