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서울 여의도 대선캠프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민주당이 조기 대선 후보 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뽑기로 한 것과 관련해 비명계 주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오늘(14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이) 우리 민주당의 원칙이자 전통이다. 이 규칙으로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선됐고, 이재명 전 대표도 지난 대선 경선에서 이 룰로 당선이 됐다"며 "이 같은 원칙과 전통이 지금 파괴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 지사는 "절차적으로도 그 과정에서 후보자 간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특정 집단의 악의적 개입 가능성을 고려해 지금과 같은 룰을 만들었다는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는 "핑계에 불과하다"며 "계엄도, 탱크도 막은 것이 우리 국민의 시민의식인데, 이를 믿어야 하지 않나. 국민의 자발적 참여를 보장하는 게 더 큰 선거를 이기는 지름길"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다른 비명계 주자인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오늘 공개 일정을 모두 비운 채 경선 불출마를 포함해 고민을 이어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비명계 '3김(金)' 주자 중 한 명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상대적으로 차분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김 전 지사는 MBC라디오에 나와 "경선 룰 토론은 일종의 샅바 싸움이다. 샅바 싸움을 길게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며 "그 과정에서 가능하면 후보들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그러면서도 "역선택 우려들이 많이 있긴 하지만, 그런 우려가 없는 당원들의 참여 폭은 확대하는 것이 좋지 않나"라며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당원만이 아니라, 최근 6개월간 한 번이라도 당비를 낸 당원은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