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결국 90일 유예를 선언했지만, 그 사이 애플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전세기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를 미국으로 공수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부터 관세 조치를 피하고 아이폰 재고를 늘리기 위한 특별한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3월부터 화물 100t을 수송할 수 있는 화물기 6기를 동원했는데, 이 중 한 대는 이번 주에 인도로 떠났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아이폰14와 충전 케이블 1개 세트의 무게가 350g인 것을 고려하면 600t 분량의 화물기로 약 150만 대의 아이폰을 공수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애플은 또 인도에서 미국으로 아이폰을 공수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아이폰 생산 공장이 있는 타밀나두주의 첸나이 공항에 통관 시간을 30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이 밖에도 첸나이 폭스콘 공장은 휴일인 일요일에도 추가 인력을 투입해 공장을 가동했습니다.
관세가 도입되기 전 1대라도 더 아이폰을 만들어 미국으로 공수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관세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중국 공장 생산은 줄이고 대신 인도에서의 생산을 늘릴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중국에 적용된 관세는 최고 145%지만 인도에 물린 관세는 26%로 중국보다 훨씬 낮은 데다 인도는 미국과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어 관세율이 더 낮아질 여지가 있습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애플은 연간 2억 2천만 대 이상의 아이폰을 전 세계에 판매하며 미국으로 수입되는 아이폰의 약 20%는 인도에서 생산되고 나머지는 중국산입니다.
현재 인도에는 폭스콘과 타타가 3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공장 2곳을 추가 건설 중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애플, 관세 피하려 전세기로 인도서 아이폰 150만 대 미국에 공수"
입력 2025.04.11 11:01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