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따개비마을이 지난달 번진 산불로 여기저기 타 처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경북 5개 시군을 덮친 산불 피해 신고액이 1조 4천3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른 복구비는 2조 7천868억 원으로 추산됐습니다.
신고 피해액과 복구비 추산액은 시군이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한 신고 규모를 말하며 이를 토대로 중앙부처가 합동조사를 벌여 최종 피해액과 복구액을 확정합니다.
오늘(10일) 경북도에 따르면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공공시설 피해 신고를 지난 8일 마감한 결과 1조 435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른 복구비 추산액은 2조 6천533억 원입니다.
피해 신고액과 이에 따른 복구비 추산액이 최종 집행되는 금액은 아니며 중앙합동조사와 중앙부처 협의 등 절차를 거쳐 최종 복구 금액이 확정됩니다.
사유 시설은 현재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된 피해 신고액(9일 오전 8시 30분 기준)이 3천865억 원, 복구액은 1천335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도는 사유 시설의 경우 개인이 실제 지원 가능 금액보다 많게 시군에 신고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유 시설 피해에 대한 신고 기간은 오는 15일까지입니다.
피해지역 사정을 고려해 일주일 연장됐습니다.
도는 신고 피해액과 복구액의 70% 이상은 산림이 차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11개 부처와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100여 명과 경북도 22개 부서 80여 명으로 구성된 중앙합동조사단은 오는 15일까지 현장 조사를 벌여 시군에서 NDMS 시스템에 입력한 신고 피해액과 복구액을 확인합니다.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초대형 산불 피해로 많은 도민이 어려움을 겪는 만큼 신속한 피해복구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빈틈없는 피해조사를 통해 산불 피해 이전보다 개선된 복구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