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연속 줄어들던 15∼29세 청년층 장기 실업자가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 전체 장기 실업자 10명 중 3명은 청년층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8일 발표한 '최근 청년 고용시장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개월 이상(한국은행 기준) 구직 활동을 했는데도 일자리를 찾지 못한 장기 실업자는 6만 9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 2023년보다 2천 명 늘어난 겁니다.
2020∼2023년에는 청년층 장기 실업자 규모가 전년보다 감소했지만, 지난해 5년 만에 증가로 전환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장기 실업자 22만 7천 명 중 청년층은 30.2%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30대가 5만 1천 명(22.3%)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장기 실업자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입니다.
장기 실업자가 증가하면 고용 회복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실업 기간이 1개월 늘어나면 취업 확률이 1.5%포인트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경총은 취업 확률이 낮고 구직 단념 확률이 높은 장기 실업자 증가는 고용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으며 낙인효과 등 구조적 문제로 진전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올해 2월 '쉬었음' 청년은 50만 4천 명에 달해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쉬었음은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 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입니다.
외형상 실업 상태지만 구직 의사가 없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됩니다.
경총에 따르면 올해 2월 쉬었음 청년 중 71.4%인 36만 명은 취업 경험이 있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2월과 비교해 올해 2월에 늘어난 쉬었음 청년 6만 1천 명 중 87.9%는 과거 취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경총은 "청년 쉬었음의 주된 사유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움' 같은 노동시장 미스매치가 주요 원인"이라며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쉬었음이 늘어나는 것은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쉬는 것이 아니라 취업을 경험한 후 더 이상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이탈한 사례가 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총 최문석 청년ESG팀장은 "쉬었음 청년 등 유휴 인력들이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보다 쉽게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 맞춤형 직업훈련 등 고용 지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의 SSAFY나 LG AI연구원의 LG에이머스 등 민간 주도의 수준 높은 청년 고용 지원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해 취업하지 못한 청년들의 직무 능력을 높이고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해 고용 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작년 청년층 장기 실업자 6만 9천 명…5년 만에 증가세 전환
입력 2025.04.08 15:47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