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국제 금융시장이 요동치는데, 미국 트럼프정부는 오는 9일부터 시작하겠다는 '국가별 관세 부과'를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이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지난주 상호관세 발표 이후 50개국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을 시작하자고 요청해왔다면서도 대중국 무역 적자가 해결되지 않으면 중국과는 협상하지 않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한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관세로 인한 주가 폭락, 물가상승과 경기침체 우려가 계속되자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이 나서 여론전을 펼쳤습니다.
이틀 앞으로 다가 온 국가별 관세 정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러트닉 상무장관은 협상을 위해 관세 부과를 연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연기는 없다"면서 "며칠 또는 몇 주간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는 농담이 아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남극 펭귄들이 모여 사는 무인도에도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해선 우회 수출로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라는 취지로 설명했습니다.
백악관은 50개 이상 국가가 협상을 요청해 왔다면서 미국 소비자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케빈 해싯/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ABC 인터뷰) : 어젯밤 무역대표부로부터 50개국 이상이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대통령에게 연락했다는 보고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관세의 상당 부분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에는, 이건 조정의 과정이고 약간의 불안정이 있더라도 견뎌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스콧 베선트/미국 재무장관 (NBC 인터뷰) : 경기침체가 반드시 올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 뒤에 일주일 뒤에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 누가 알겠습니까.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장기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제를 고치려면 약을 먹어야 할 때가 있다면서, 관세 전쟁의 주요 타겟인 중국과의 무역적자가 해결되지 않으면 협상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채철호)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