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
올해 3월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전달과 비슷했으나 3월 기준으로는 통계 집계 이후 27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직급여 지급자와 지급액은 4년 만에 최다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오늘(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천543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4천명(1.0%)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노동부는 고용보험 피보험자 집계를 1997년 시작해 1998년부터 증감률을 계산하고 있는데 1998년 이후 27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증가했으나 건설업은 감소했습니다.
제조업 가입자 수는 384만 6천 명으로 자동차, 기타운송장비,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섬유, 금속가공, 기계장비 등은 감소했습니다.
다만 고용허가제 외국인 당연 가입 증가분을 배제하면 제조업 분야에서 1만7천 명이 감소한 것으로, 제조업 내국인 가입자 감소세는 18개월째 이어졌습니다.
서비스업의 경우 가입자 수가 1천69만 명으로 보건복지, 사업서비스, 전문과학, 숙박 음식 등 위주로 증가했으나, 도소매, 정보통신은 지속해 감소했습니다.
건설업 가입자 수는 75만 4천 명으로 종합건설업을 중심으로 20개월 연속 줄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 가입자는 853만 2천 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만3천명, 여성 가입자는 690만 3천 명으로 13만 1천 명 각각 증가했습니다.
30대·50대·60세 이상은 각각 6만 7천 명, 5만 6천 명, 18만 4천 명 증가한 반면 29세 이하와 40대는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각각 10만 4천 명, 4만 9천 명 감소했습니다.
29세 이하와 40대는 각각 33개월, 19개월 연속 줄었습니다.
외국인력 도입 확대 등으로 전체 업종 외국인 가입자는 1년 전보다 2만 4천 명 증가한 25만 4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좋은 일자리라고 평가되는 제조업 일자리는 현재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금융이나 정보통신업 등 서비스업에서는 고용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며 "전체적으로 볼 때는 노동시장 자체가 고령화돼 취약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3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신청자는 13만 7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천 명(4.6%) 증가했습니다.
구직급여 지급자는 69만 3천 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만 8천 명(5.9%) 늘었습니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 510억 원으로 815억 원(8.4%) 늘었습니다.
구직급여 지급자와 지급액 모두 2021년 3월 이후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