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금융시장 '강타'…미 증시 최대 타격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금융시장 '강타'…미 증시 최대 타격
▲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이 2020년 팬데믹 확산 초기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4일(한국시간) 새벽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 3.98% 떨어진 40,545.93에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 4.84% 급락한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 5.97% 급락한 16,550.61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미 증시에서만 오늘 폭락으로 하루 약 3조 천억 달러, 약 4천500조 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앞서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예상 수준을 넘어서는 고율 관세가 상대국의 보복 관세를 불러오고 결국 미국 경제에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뉴욕증시 투매를 불러왔습니다.

특히 미국 바깥 공급망에 생산 의존도가 큰 주요 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고, 대형 기술주도 충격을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나이키가 14.44% 급락했고, 할인상품 유통체인 파이브빌로는 낙폭이 27.81%에 달했습니다.

갭 등 의류 브랜드도 20.29%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시가총액 1위 애플은 9.25% 떨어졌고, 엔비디아는 7.81%의 큰 낙폭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 "예상됐던 것"이라며, "미국 경제는 많은 문제가 있고, 수술을 통해 경제는 호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예고에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어제 상호관세 발표 이후 유럽 대형주 지수 유로스톡스50은 전장보다 3.57% 떨어진 5,114.65로 마감했고, 독일 지수 DAX40은 3.08%, 프랑스 CAC40은 3.31% 각각 하락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공포감에 휩싸이면서 채권 금리는 하락하고 원유 등 원자재 가격도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 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뉴욕증시 마감 무렵 4.0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3bp 급락했습니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미 국채로 매수세가 몰린 영향을 받았습니다.

미국 달러화 가치도 급락했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미 증시 마감 무렵 102.2로 전장 대비 1.5% 하락했습니다.

달러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유로화와 엔 가치는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어올랐습니다.

국제유가도 급락했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는 66.95달러로 거래돼 전장보다 4.76달러, 6.64% 떨어졌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