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의 월세 거래가 6년째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을 넘었습니다.
상업용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오늘(2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및 전·월세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전년보다 0.5% 감소한 13만 7천315건을 기록했습니다.
거래 종류별로 전세 거래는 6만 2천657건으로 전년 대비 12.4% 줄어든 반면 월세 거래(7만 4천658건)는 12.4%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세 거래는 3년째 감소세를, 월세 거래는 6년째 증가세를 기록하게 됐습니다.
지난해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54.4%로 나타났습니다.
월세 유형별로는 전체 월세 거래에서 ▲ 준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분) 53.4% ▲ 준전세(보증금 월세의 240개월분 초과) 37.9% ▲ 순수 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분 미만) 8.7%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준전세(2만 8천309건)가 전년보다 45.2%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증가 폭을 나타냈다고 부동산플래닛은 밝혔습니다.

서울시 25개 구별로 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1만 1천142건)였으며 강서(5천307건), 강남(4천392건), 강동(4천320건)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성동(-7.9%)은 유일하게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전세 거래의 경우 성북(0.8%)을 제외하고 24개 지역에서 모두 줄었습니다.
매매 가격 대비 전세가의 비율을 나타내는 전세가율은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평균 65.4%로 나타났습니다.
강서(74.3%)와 영등포(73.7%), 송파(73.0%) 등의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용산(46.1%), 중구(57.0%), 노원(59.8%)의 3개 지역은 60%를 밑돌았습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서울 연립·다세대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은 평균 5.6%로 조사됐습니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월세 부담이 크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지난해 서울시의 연립·다세대 주택 거래량의 경우 전년보다 20.6%가 늘어난 2만 6천21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거래 금액 역시 22.8%가 늘며 9조 4천711억 원을 기록, 3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별로 영등포(-17.8%)와 구로(-8.0%)를 제외한 23개 지역의 거래량이 늘었습니다.
증가 폭이 가장 큰 곳은 광진구(53.7%)였습니다.
매매시장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지표인 거래 회전율도 광진(3.50%)이 가장 높았습니다.
(사진=부동산플래닛 제공, 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