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불이 나자 다급히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은 앞으로가 막막한 상황입니다.
평생을 일궈온 과수원과 농가가 모두 검게 타버려 당장 어떻게 살아야 할지 걱정이라고 하는데, KNN 박명선 기자가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5년 전 산청으로 귀농해 양봉을 늘려오던 이재호 씨 농장은 쑥대밭이 됐습니다.
양봉장 옆에있는 집부터 로열젤리를 제조하던 작업장까지 한순간에 사라지면서 당장 어떻게 살지가 걱정입니다.
[이재호/산불 피해 양봉장 대표 : 꿀을 채취하는 기계라든지 채밀기라든지 장치들이 전부 소실돼서….]
산불이 휩쓸고 간 산청군 시천면은 한 집 건너 한집 꼴로 불길에 사라졌습니다.
대를 이어 지어온 감나무 과수원도 모두 불에 탔습니다.
다시 이전처럼 감을 수확하려면 최소 10년 이상 걸려, 지금으로서는 과수원을 복구할 엄두조차 나지 않습니다.
[최호림/감 과수원 운영 : 집이 소실되거나 한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먹고살아야 하는(생계에 대한) 고민을 어른들이 많이 하시거든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을 넘나드는 농기계도 모두 뼈대만 남았습니다.
어렵게 대출로 구입해 농사를 지어왔는데, 트랙터부터 모두 다시 장만하자니 눈앞이 깜깜합니다.
[손경모/산청 중태마을 이장 : 대출을 내서 새로 장비를 다 장만하면 갚을 능력도 모자라고 해서 (과수원 농사) 포기하는 분들도 생기고 있습니다.]
감 농사는 물론이고 농장 일까지, 모두 포기해야 할 처지에 이른 주민들은 앞으로의 미래가 막막합니다.
온 마을을 휩쓴 화마는 주민들의 마음까지 할퀴었습니다.
당장 지병에 먹을 약조차 챙겨오지 못한 70~80대 주민들은 언제 귀가할지도 모르는 상황에 지쳐갑니다.
[백운조/80대 이재민 : 바람만 세게 불어도 불이 금방 저한테 오는 그런 기분입니다. 거의 4일 동안 잠을 못 잤어요.]
아직도 꺼지지 않는 산불은 주민에게 돌아갈 곳도, 해야 할 일도, 다시 돌아갈 일상마저 앗아가 버렸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준 KNN)
KNN 박명선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