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오늘 기준금리 발표…오르는 대출금리 '제동'?

스크랩 하기
오늘 기준금리 발표…오르는 대출금리 제동?
<앵커>

지난해 말 기준금리가 두 차례 내렸는데도, 시중은행 대출금리는 오히려 오르자, 금융위원장이 이제는 대출금리를 내릴 때가 됐다고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은 오늘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합니다. 

박재현 기잡니다.

<기자>

이창호 씨의 은행 대출금리는 지난해 0.08%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해 11월과 12월, 2차례 인하로 기준금리가 0.5%포인트 낮아진 것에 비하면 미미합니다.

[이창호/서울 종로구 : 올라가는 건 쉽게 올라가는데 (은행들이 금리를) 왜 안 내리는지 난 이해가 안 가요. 이자 마진으로 해 가지고 엄청난 이익이 창출되고 있잖아.]

실제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12월 평균 가계 대출금리는 연 4.49~5.17%로, 기준금리를 내리기 전인 9월보다 오히려 올랐습니다.

1%포인트 넘게 오른 은행도 있습니다.

급여 이체 등에 따라 이자를 깎아주는 우대금리를 낮추거나 가산금리를 올렸기 때문입니다.

[권기석/대구 북구 : 민생 경제를 생각해서 기준금리를 정말 어려운 상황에서도 내리는데, 시중은행에서는 거기 정책과 반하게..]

지난해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감독당국 주문에 맞춰 대출을 조이기 위해 가산금리 인상이라는 손쉬운 대응에 나선 측면이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시중은행들의 우대금리 적용 현황 점검에 나선 데 이어, 금융위원장은 대출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김병환/금융위원장 : 대출금리도 가격이기 때문에, 시장원리는 작동을 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제는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할 때가 된 것 같다.]

반면 예금금리를 발 빠르게 내리면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기준금리보다 낮은 2%대에 형성된 곳도 있습니다.

예대마진 확대에 힘입어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순이익은 1년 전보다 약 10% 늘어난 16조 4천여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이예지, VJ : 정한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