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이젠 먹거리도 '구독'

스크랩 하기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이젠 먹거리도 구독
<앵커>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요즘 장보기가 겁난다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다른 건 줄여도 먹거리를 줄이기는 쉽지 않은데 이렇다 보니 먹는 것까지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유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 창고형 할인점의 푸드 코트, 1만 8천 원짜리 피자 한판을 사려는 소비자가 종이 한 장을 키오스크에 인식시킵니다.

피자 구독권입니다.

9천8백 원을 내면 한 달 반 동안 2주마다 1만 원씩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임학수/피자 구독권 이용 : 할인이 되니까, 피자를 여러 번 먹으면 이익이 많이 남으니까 (피자 구독권을) 구매하게 됐습니다.]

일정 금액으로 정해진 기간 물건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독 마케팅은, OTT나 가전제품 등에 주로 적용돼왔는데 먹거리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 가정에선 정기적으로 과일을 구독합니다.

과일값이 무섭게 오르다 보니 미리 가격을 정해놓고 먹는 게 이득이란 판단에서입니다.

[김상순/과일 정기 구독 중 : 시중은 오르면 그게 바로바로 좀 적용이 되는 것 같은데 구독을 하는 것이 더 이제 가성비가…. ]

실제로 신선채소는 지난해 1년 동안 8% 넘게 뛰었고 신선과실은 17.1%나 올랐습니다.

과일, 김치가 주인 이 구독 상품 매출은 1년 전보다 2.4배, 한 백화점의 반찬 구독 상품 이용자는 한해 사이 30%나 늘었습니다.

편의점까지 구독 상품을 내놓고 있는데, 이 편의점은 식사 관련 구독상품이 특히 인기로 전체 가입의 40%를 넘습니다.

고객 입장에선 가격 예측 가능성이 생기고 할인을 기대할 수 있고, 기업 입장에선 고객을 일정 기간 붙들어 두면서 다른 상품 구매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올해 국내 구독경제 시장은 5년 전의 2배 조금 넘는 수준인 100조 원으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고물가 시대 먹거리 구독에 대한 관심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  배문산,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장예은, VJ : 김   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