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5·18민주화운동에 한 달 앞서 벌어진 정선 사북항쟁의 피해 회복 움직임이 조금씩 일고 있습니다. 반세기 가까운 시간 동안 이렇다 할 진전이 없던 사북항쟁 논의가 국회에서 촉발되면서, 군의회와 피해자 단체도 보폭을 맞추고 있습니다.
윤수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국회에서 처음으로 공식 언급된 사북 사건 관련 지적에 대해,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내용을 확인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해식/국회의원 (지난 18일, 국회 행안위) : 지금까지, 2008년 권고가 있었던 이래 지금까지 0%입니다. 이행 계획을 행안부에서 세우게 돼 있고, 특히 국방부 등에다가 이 조치 계획을 제출을 받아야 하거든요. 그런데 그런 활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요.]
말 그대로 0%.
이미 지난 2008년과 2024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가 사북항쟁을 국가폭력 사태로 인정하고, 국가의 사과와 피해자 구제를 권고했음에도 아직도 달라진 건 전혀 없는 겁니다.
지역은 반세기 만에 처음 국회에 사건이 오른 것만으로도 진전이라며, 아흔에 가까운 200여 피해자들의 한을 풀 마지막 기회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황인오/사북항쟁동지회장 : 그때 받은 고통과 피해에 대해 어떤 법적 구제 절차가 없습니다. 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이분들이 더 돌아가시기 전에, 잊히기 전에, 빨리 이분들에 대한 피해 복구가 있어야 하고요.]
국회 대정부 요구에 이어 군의회는 '정선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했습니다.
조례에는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들을 추진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사북항쟁 피해자에 대한 안정적 지원과 관련 기념사업을 비롯한 각종 구제 조치가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한편,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도 다음 달로 예정된 회의에서, 사북항쟁 피해자에 대한 국가의 공식 사과와 손해배상, 기념사업 지원 등 진실화해위의 권고사항에 대한 대책을 질의하고 신속한 이행을 촉구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이광수 G1방송)
G1 윤수진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