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산업장관, 이르면 금주 방미…미 상무·에너지장관 등 면담 추진

스크랩 하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연합뉴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르면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해 미국의 관세 조치 등 통상 정책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전달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합니다.

트럼프 신정부의 무차별적 관세 예고로 한국 주력 산업이 사정권에 든 상황에서 안 장관의 방미가 관세 등 피해를 최소화하는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안 장관의 방미는 당초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 지명자 취임 뒤 추진하는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그러나 그리어 지명자의 취임이 늦어지고 미국의 관세 조치 등 관련 움직임이 빨라지자 방미 일정을 당겨 잡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 장관은 방미 기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고위 관계자 등 미국의 무역·통상 관련 고위급 인사들과의 면담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들을 만나 미국 정부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한국의 입장을 설명하며 무역 통상 분야에서 공조 가능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철강·알루미늄 대상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으로 관세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무역 적자국에 대해서는 비관세 장벽을 고려한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면서 4월 1일까지 이에 대한 연구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 장관은 이번 방미 기간 면담에서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제조업 및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국이 미국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하고, 한국 기업들이 현지 생산시설 구축으로 미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점 등을 거론하며 한국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반도체·이차전지 등 분야의 한국 기업이 바이든 행정부 시절 반도체과학법과 인플레이션 감축법 유인을 통해 대규모 대미 투자를 단행한 상황에서 장기 투자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반도체 투자 보조금과 IRA 생산 세액공제가 유지돼야 한다는 견해도 피력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