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ISSUE 트럼프 관세전쟁

트럼프, 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나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스크랩 하기
트럼프 대통령 (사진=AP, 연합뉴스)
▲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제약사 대표들을 만나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지 않으면 관세를 물게 될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미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에 고율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예고한 데 이어 대형 제약사 대표들을 직접 만나 압박한 것으로, 국내 제약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입니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백악관에서 제약사들과 비공개회의를 가졌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일라이릴리, 머크,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에게 관세를 고리로 해외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서둘러 이전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물리겠다면서도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면 관세가 없다며 협상 여지를 남겼습니다.

19일에는 관세 부과 시점을 당초의 4월 초에서 한달 이내로 앞당길 수 있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 하루 뒤에 글로벌 제약사들 대표를 직접 만난 자리에서 생산시설 이전을 대놓고 거론하며 재차 압박한 셈입니다.

다른 국가에서 의약품을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는 경우 관세 타격을 피할 수 없는 만큼 한국 제약·바이오기업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입니다.

해외 위탁생산을 하고 있는 일부 국내 업체는 미국 현지 업체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제약업체들이 이번 회동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 시절 도입됐던 약가 책정 프로그램에 대한 완화 방안도 모색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은 얻어내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연방 정부가 특정 의약품 가격을 협상할 수 있도록 한 법안을 완화하고 업계에서 약값 상승의 원인으로 보고 있는 중개상을 규제하는 정책을 지지하도록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려 했지만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친기업적 성향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1기 때도 제약회사들과는 관계가 좋지 않았다며 업계가 원하는 바를 얻어내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미국이 다른 나라들보다 처방 약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약값 인하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부터 미국 국민이 다른 나라 국민보다 약값을 더 비싸게 지불하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