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연합공중훈련 실시
북한은 최근 미국 전략폭격기 전개 등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를 직접 거명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적수들의 전략적 위협에 전략적 수단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 국방성 공보실장은 지난 21일 자 담화에서 "조선반도 지역의 불안정한 안전환경을 강력한 억제력으로 통제관리하기 위한 책임적인 군사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습니다.
국방성은 "트럼프 행정부의 출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안전환경을 위협하는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군사적 도발행위가 더욱더 우심(극심)해지고 있다"며 지난 20일 미국의 B-1B 전략폭격기의 올해 첫 한반도 전개 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이어 미국이 올해 두 달도 안 되는 기간에 주변에서 도발적인 군사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은 한국과 야합해 오는 3월에는 여단급 연합야외기동훈련이 지난해에 비해 7건이나 증가된 대규모합동군사연습 '프리덤 쉴드'를 또다시 강행하여 지역의 군사적 긴장상태를 극한점에로 몰아가려 하고 있다"고도 지적했습니다.
국방성은 "우리의 핵무장력은 국가주권과 지역의 안전을 수호하기 위한 정당방위수단으로서 그의 급속적이며 가속적인 강화는 최근 더욱 횡포해지는 미국과 추종국가들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현실적 요구로 나서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핵타격 수단들의 실전 사용을 전제로 하는 미국의 모험주의적 군사적 망동이 적극화되고 적대세력들의 군사적 대결기도가 더욱 노골화되고 있는 현실"이라며 "핵억제력을 중추로 하는 (북한) 무력의 전쟁수행능력 향상이 왜 정당하고 필수불가결한 선택으로 되는가를 뚜렷이 실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이러한 주장은 한미 연합훈련을 구실로 향후 군사 도발의 명분을 쌓거나 연합훈련 및 전략자산 전개 중단을 북미 협상의 전제 조건으로 삼으려는 의도로 추정됩니다.
최근 북한 국방성은 대변인 담화(11일), 정책실장 담화(15일) 등을 통해 한미 연합훈련이나 미국의 전략무기 개발, 한미의 북한 비핵화 언급 등에 신속하고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은 앞선 담화에서 비난 대상을 '미국', '미국 행정부'로 부를 뿐 트럼프 대통령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트럼프 행정부'를 직접 거명했습니다.
(사진=국방부 제공, 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