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여야정 모여 "추경 필요 공감"…반도체법·연금개혁 '빈손'

스크랩 하기
여야정 모여 "추경 필요 공감"…반도체법·연금개혁 빈손
<앵커>

여야 대표와 국회의장,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정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늘(20일)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그동안 여야가 첨예하게 맞서온 현안들에 이번에는 합의가 이뤄질지 기대를 모았는데 추경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반도체 특별법과 연금 개혁을 놓고는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박서경 기자입니다.

<기자>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민주당 이재명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에서 모였습니다.

지난달 9일 여야정 국정협의회가 4자 회의를 열기로 한 뒤 진통을 거듭하다 처음 마주 앉은 겁니다.

2시간 동안 진행된 회의에서 추경의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참석자들은 밝혔습니다.

하지만 전 국민 25만 원 지급을 포함해 35조 원 규모는 필요하다는 야당과, 야당이 삭감했던 예산부터 복원해야 한다는 여당의 입장은 여전히 맞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예산 편성 권한은 헌법상 엄연히 정부에 있는데도, 국회가 일방적으로 감액만 해 처리한 것은 분명히 잘못됐습니다.]

반도체 특별법도 평행선을 달렸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반도체 특별법에 주 52시간 예외 조항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 이것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반도체 특별법이 아니라 반도체 '보통법'에 불과합니다.]

야당은 해당 조항을 제외하고 업계 지원 부분만 우선 처리하자고 요구했습니다.

연금 개혁에서도 '내는 돈' 즉 보험료율 조정엔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이 이뤄졌지만, '받는 돈' 즉 소득대체율과 논의 기구 등을 놓고 대치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표 : 합의하기 어려운 조건을 붙여서 이거 안 되면 끝까지 안 하겠다, 이렇게 하는 것은 별로 국민들께서 흔쾌히 동의하실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오늘 회의에서 국회 윤리특위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즉 APEC 특위 구성에는 합의에 이르렀고, 국회 기후특위 구성도 추가 논의해 나가기로 하는 등 여야정은 대화 채널은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 영상편집 : 남 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폴리스코어 시즌 2 - LLM과 빅데이터로 분석한 정치인 주간 랭킹 & 이슈 FAQ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