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 다시 믿겠다" → "혼란한 국내 상황에 위축되지마라"
두 차례 행보에서 내놓은 발언을 종합하면, '다시 군에 신뢰를 보낼 테고, 또 여러 혼란스러운 국내 상황이 있지만 위축되지 말라'는 메시지로 정리됩니다. 최 권한대행 측 관계자는 "서부지법 폭동 사태와 각종 집회 시위 등 1월부터 잇따르는 여러 정치적 사건이 군 사기에 미칠 영향도 함께 고려한 발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군 주요 지휘부 10자리 넘게 공석
합참 작전통제실을 찾아 사기 진작을 주문했던 최상목 경제부총리도 대행이었고 최 권한대행을 수행했던 국방장관, 육군참모총장도 모두 대행이었습니다. 국군통수권자가 부재한데다 현재 계엄 여파로 국방부와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방첩사령부 등에 지휘부가 사실상 공석인 곳은 10자리가 넘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미 간 국방 외교 수장 2+2 회담이 있는데 외교장관 혼자 막아내기 버거울 것"이라며 "회담 준비하고 의제를 정하려면 국방장관이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는 NSC의 중요성을 거론하며 국방장관 부재가 뼈 아프다고 했습니다. 미국 정부와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신뢰도 높은 채널이 NSC인 만큼 트럼프 행정부와 교감이 있는 국방수장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NSC 채널을 통해 신뢰를 구축해야 안보에 국한하지 않고 경제 등 다른 분야로 논의를 뻗어나갈 수 있다는 취지입니다.
"국방 고위 관계자가 피를 토하는 심정이라며 말했다"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말씀드린다. 군은 사기를 먹고 사는 조직인데 주요 지휘관들이 공백 상태라 명령이나 지휘 계통을 수행하는 데 문제가 있다. 하루빨리 공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한덕수 총리는 이로부터 일주일 뒤 탄핵소추안 가결로 직무가 정지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겨를도 없었습니다. 공은 최 권한대행에게 넘어간 상태입니다. 여러 정치적 어려움에도 관철해 나갈 수 있을지 여부는 최 권한대행에게 달렸습니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은 최 권한대행이 안보 공백의 심각성과 그 연장 선에서 국방장관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최 권한대행 측 핵심 관계자는 '야당이 합의 안 해주면 권한대행도 여기서 스톱이냐. 소극적인 자세인가'라고 묻는 기자의 질문에 "대행이 이 사안에 소극적인 것은 아니다"라며 "(국방장관 임명 필요성에 대한) 분명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다만, 논의의 전제 조건은 여야의 합의"라고 단서를 달았습니다. 권한을 대행하는 입장인 만큼, 여야에 논의와 합의를 읍소해야 하고 이후 후보자 추천과 청문회 등의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한 전직 국방장관은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국민들이 대통령을 바라듯, 국방부도 장관을 바라는 마음은 군도 마찬가지"라며 "장관은 분명 필요하다. 다만, 정치적 상황이 녹록지 않다"며 안타까움을 표했습니다. 다른 전직 국방장관은 "가령, 현직에 있는 차관이나 합참의장을 장관으로 올리는 것도 새 후보자를 임명하는 것보다 잡음이 덜하지 않겠느냐"라고 조심스레 의견을 전했습니다.
"서울청장 인사 안 할 줄 알았는데"…국방장관도 만지작?
최 권한대행은 국회에서 수차례 "정무직 인사가 아니다"라며 "치안 공백 해소 차원"이라고 했지만, 민주당 등 야당에서는 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민주당 윤건영 의원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질의 답변 중 (2월 6일 3차 청문회)
[윤 의원 : (서울청장은) 사실상 정무직입니다. 경찰의 수장이에요, 경찰청장이 없는데. 이런 인사가 가능합니까.]
[최 대행 : 의원님은 그렇게 지적하실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제가 드리는 말씀은 지금 서울청장이 공석이라는 것 자체의 문제 의식은 없으십니까? 저희는 그 부분에 대해서….]
[윤 의원 : 서울청장이 만약에 문제가 있으면 치안정감 보직을 이동을 하면 되죠.]
'계엄 쪽지' 관련 내용 외에는 거의 원론적 입장으로 일관하던 최 권한대행이 오른손을 들어올려 흔들어가며 윤 의원의 지적에 반박을 하며 반문을 하는 모습입니다. 이어서 윤 의원이 1급 외 다른 인사도 단행할 가능성 있느냐고 묻자 최 권한대행은 '정무직 인사는 말씀을 드리지 않겠다'고 짧게 답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을 보좌하는 여러 참모들은 국방장관 임명 논의 추진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들 참모들은 마침 다음주 초에 열릴 뻔(?) 했던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이 사안을 언급이라도 해보려고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결국 협의회는 불발됐고 국방장관 임명 여부 논의는 다시 오리무중인 상태가 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