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선반에 넣지 말라"…예약부터 탑승까지 확인

스크랩 하기
"선반에 넣지 말라"…예약부터 탑승까지 확인
<앵커>

얼마 전 에어부산 여객기의 화재 원인이 보조배터리였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내 항공사들이 안전 조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약 단계부터 승객들이 보조배터리를 가지고 가는지 파악하고, 비행기 안에서는 선반에 넣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달라진 모습을 김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김포공항 체크인 카운터, 항공사 직원이 승객에게 보조배터리를 가지고 있는지 일일이 묻습니다.

[대한항공 직원 : 기내 수하물에 보조배터리 가지고 가십니까? 혹시라도 가지고 가시는 보조배터리 있으시면 반드시 고객님 몸에 소지 부탁 드리고요.]

비행기 안에서는 보조배터리를 직접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 등 눈에 보이는 곳에 둬야 한다고 안내합니다.

에어부산은 배터리가 없는 게 확인된 수하물에 스티커를 붙여 기내 선반에 올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제주항공은 기내 선반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할 수 없다는 내용에 동의해야 발권 절차가 진행되도록 했습니다.

에어부산 화재 이후 항공사들이 일제히 기내 보조배터리 관리 강화에 나선 겁니다.

승객들은 번거로움을 호소하기보다는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이준경/서울 서대문구 : 많이 불편할 것 같은데, 그래도 화재가 나거나 위험에 문제가 있다면 감수할 마음이 있습니다.]

계도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상혁/서울 성북구 : 실효성을 가지려면 계도하는 게 아니라 이제 탑승할 때부터 조금 강하게 해야 되는 게 아닌가. 왜냐하면 이거는 생명과 직결된 문제고….]

보조배터리 관리 방식은 아직 항공사마다 제각각인 데다 법적 강제성도 없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항공사마다 대책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주관 부서에서 규정을 세밀하게 만들어서 그 규정에 따라서 항공사들이 따를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항공안전 혁신 방안을 4월까지 마련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김윤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프 깐깐하게 우리동네 비급여 진료비 가장 싼 병원 '비교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