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일론 머스크 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미국 정부효율부(DOGE)가 최근 사고가 잇따랐던 항공관제 시스템에 대해서도 칼날을 들이댈 전망입니다.
머스크는 현지시간 5일 엑스(X·옛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DOGE 팀은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에 대한 신속한 안전 업그레이드를 목표로 할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그는 또 "며칠 전만 해도 미연방항공청(FAA)의 주요 항공기 안전 통지 시스템이 몇 시간 동안 고장 났었다!"고 적었습니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도 X에 "DOGE 팀과 이야기했다. 그들이 우리 항공 시스템 개선을 돕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머스크와 DOGE 직원들이 관제 시스템 개선에 어떤 역할을 할지, 어느 부분을 조사할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불분명합니다.
머스크의 언급대로 앞서 지난 1일에는 조종사들에게 실시간으로 운항 관련 안전 공지를 보내는 노탐(NOTAM) 전산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당시 비상 시스템이 작동돼 항공기 지연 등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2023년 1월에도 노탐 전산시스템 가동이 중단돼 미국 내 항공기 1만 1천여 편의 운항이 취소, 지연되는 등 대란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
또 지난달 29일 워싱턴DC 인근 로널드 레이건 공항 근처에서 여객기와 군용 블랙호크 헬리콥터가 충돌한 뒤 모두 강에 추락해 총 67명이 사망했습니다.
추락 사고 이틀 뒤에는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의료 수송용 소형 여객기가 쇼핑몰 근처로 추락해 7명이 숨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대대적인 정부 인력 축소와 지출 삭감을 주도하고 있는 머스크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소유주입니다.
미연방항공청, FAA는 스페이스X의 우주선 발사 허가를 담당하기 때문에 머스크의 이번 계획은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고 미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지적했습니다.
머스크는 지난해 FAA가 스페이스X의 우주선 발사 승인을 원하는 만큼 빨리 내주지 않자, '규제권한 초과'를 주장하며 FAA를 고소하겠다고 위협한 바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