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계엄일 전산장애로 업비트 31억 6천만 원·빗썸 5억 원 보상 결정

스크랩 하기
계엄일 전산장애로 업비트 31억 6천만 원·빗썸 5억 원 보상 결정
비상계엄 사태 당시 업비트, 빗썸 등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발생한 전산장애와 관련해 업비트가 투자자들에게 31억6천만 원, 빗썸이 5억 원을 보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감원은 오늘(6일) 두나무, 빗썸,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등 5개 가상자산사업자의 최고경영자(CEO)·최고기술책임자(CTO)와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이하 닥사) 등과 현안 간담회를 열고 최근 발생한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장애 원인과 관련 위험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계엄직후 전산장애가 발생한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2차례 현장점검을 한 결과, 비상계엄시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 3개사에서 발생한 전산장애의 주요 원인은 트래픽 집중에 따른 서버 용량 부족 등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금감원은 재발 방지를 위해 서버 등 장비 증설을 끝냈고, 일부 미비한 점과 개선사항은 상반기 중 이행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증설에 따라 거래소별 동시접속자 수용 능력은 계엄 전에 비해 업비트가 50만 명에서 90만 명, 빗썸은 10만 명에서 36만 명, 코인원은 10만 건에서 50만 건으로 늘어났습니다.

계엄일 전산장애 보상 (사진=연합뉴스)

계엄 당일 전산장애와 관련해 업비트는 보상신청 1천135건 중 53.2%에 달하는 604건, 31억6천만 원 상당, 빗썸은 187건 중 82.4%에 달하는 154건, 5억 원 상당을 각각 보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코인원은 보상신청 2건 모두 보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감원은 업비트에는 보상금 산정방식 일관성 확보가 필요하고, 빗썸과 코인원은 매매오류 발생시 보상을 위한 내규와 업무매뉴얼 등이 마련돼 있지만, 세부 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는 오늘 간담회에서 가상자산사업자의 IT 안정성 확보와 이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경영진의 깊은 관심과 주의를 당부하면서, 24시간 운영되는 가상자산시장의 특성을 감안해 금융회사 이상의 IT 안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전산장애 관련 피해보상의 기준·절차를 점검하고 미흡한 사항을 즉시 보완하되 업계 공통의 분쟁 처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전산장애 빈발 사업자는 현장점검을 통해 미흡한 사항을 근본적으로 개선·시정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금감원은 또 금융위원회와 긴밀히 협조해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시스템 안전성 확보 의무 등 관련 규제 도입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빗썸·업비트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