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서울시, 모아타운 대상지 12곳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스크랩 하기
서울시, 모아타운 대상지 12곳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서울시는 지난 5일 제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모아타운 대상지 12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대상지는 모아타운 사업 구역 내 지목이 '도로'인 토지로, 강북구 모아타운 대상지 3곳, 양천·광진구 각 2곳, 구로·서대문·서초·성북·중랑구까지 총 12곳이고, 면적은 78만 3천5백여㎡입니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지정에 따라 해당 지역은 오는 18일부터 2030년 2월 17일까지 5년간 거래가 제한됩니다.

골목길 지분을 나눠 여러 사람에게 판매하는 사도 지분거래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시는 또 지난해 12월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로 지정된 중랑·광진·강북·서대문구 총 4개 대상지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사업 구역이 일부 변경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 2곳과 공공 재개발 후보지 1곳도 구역 변경을 반영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조정했습니다.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에서 취소된 동대문구 답십리동 일대는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했습니다.

신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현황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2040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도 통과됐습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은 공원녹지 확충과 관리, 이용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장기계획입니다.

시는 2015년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 발표 이후 10년 만에 새로운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시는 우선 2040년까지 공원 녹지율 31.2%를 달성해 탄소 흡수량을 2023년보다 8.8%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또 ▲ 녹색 회복 ▲ 녹색 채움 ▲ 녹색 이용을 키워드로 세부적인 계획을 짰습니다.

입체공원 등으로 공원 유형을 다변화하고 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반려동물 동반 가구 등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공원별로 명소화하는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도심 내 고밀개발과 녹지 확충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개방형 녹지 제도를 반영하고, 집중녹화가 필요한 지역은 '중점녹화지구'로 지정해 녹화사업을 전략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했습니다.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은 지역 간 녹지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 이번 계획은 생활권 단위로 촘촘하게 녹지를 조성하는 데 집중했다고 시는 밝혔습니다.

시는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공원녹지기본계획을 고시할 계획입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프 깐깐하게 우리동네 비급여 진료비 가장 싼 병원 '비교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