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민생경제회복단 제7차 현장 및 전문가 간담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민주당은 오늘(5일) 인공지능(AI) 시대에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며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관련 예산을 확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은 오늘 국회에서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입법·정책 과제 등을 논의했습니다.
민생경제회복단장 겸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인 허영 의원은 "글로벌 탄소 중립 기조와 반도체 산업, AI 기술 발전, 데이터 수요 폭증으로 글로벌 경쟁의 판이 바뀌고 있다"며 "탄소가 배출되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국가가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회가 추경을 통한 예산 확보와 입법 제도 개선으로 충분하게 뒷받침하고, 민주당이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간담회에 참석해 "전력 산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위한 법·제도의 토대와 실질적 해법 마련이 필요하다"며 "민주당은 민생과 경제 회복을 선도하는 책임 있는 제1정당으로서 정책을 만들고 실제 실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전력 산업의 공공성 강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정세은 충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전력 산업을 민간이 주도하며 재생에너지 보급은 지체되고, 탈석탄 구조조정이 지연되는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다"며 "재생에너지 전환은 정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공공 기업에 역할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이번 추경이든, 다음 정부 정책을 통해 산업 정책의 기조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실장은 "공공기업 경영 평가에서 해상풍력 개발의 손실을 고려해 유연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며 "공기업이 재생에너지 사업 경쟁력을 키우면서, 경험과 자본이 풍부한 민간과 협업할 수 있도록 해야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허 의원은 전력 수급의 불균형 심화를 막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촉진한단 취지로 당이 추진하는 '에너지 고속도로'를 언급하며 전문가들의 제언까지 고려해 추경 요소에 반영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