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직 법적인 정의는 없지만 지능지수가 71에서 84 사이인 경우 '경계선 지능인'이라고 하는데, 국민 전체의 13.6%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지적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성인이 돼도 '자립'에는 어려움을 겪지만, 지원하는 제도는 아직 첫 걸음도 제대로 떼지 못하고 있습니다.
권지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A 씨의 20대 딸은 경계선 지능인입니다.
학습이 늦었지만, 어릴 땐 엄마가 특별히 더 신경 써서 채워나갔습니다.
[A 씨/20대 경계선 지능인 부모 : 제가 버는 돈 거의 다 얘한테 일대일로 하다못해 줄넘기 같은 것도 (다 가르쳤거든요.) (그런데) 사회에 나갈 때는 제가 할 수 있는 범주가 아니잖아요.]
그러나 커갈수록 딸은 점점 고립됐습니다.
A 씨가 무료 노동까지 자처하며 딸 일자리를 구해 주려 했지만 허사였습니다.
[A 씨/20대 경계선 지능인 부모 : 국숫집에 얘를 데리고 가서 '저하고 둘이 할 테니까 딸 알바비만 주세요.' 이런 욕심으로 여기저기 다녀봤죠.]
어릴 때는 '학습 부진아', 커서는 '손이 느린 사람'.
경계선지능인 B 씨는 30대 후반이 된 지금, 생존의 문제를 고민 중입니다.
끈을 묶는 게 느려 매듭 없는 신발까지 신고 일했지만 한 달 이상 지속할 수 없었습니다.
[B 씨/30대 후반 경계선 지능인 : 덮밥집에서 알바를 했는데 멀티가 안 되고 이건 노력의 문제가 아니구나라는 걸 (알게 됐죠.)]
도움이 절실하다는 생각에 장애인 등록 신청을 했지만, 거부당했습니다.
B 씨는 2년째 소송을 진행 중입니다.
[B 씨/30대 후반 경계선 지능인 : 장애인이 안 되고 다른 방법이 없어요. 재판할 때 저도 굉장히 괴롭습니다. '내가 이렇게 못났습니다, 이렇게 능력이 없어요.' (라는 걸 증명해야 해요.) 다 발가벗는 거예요. 내 모든 걸.]
장애인으로 등록되면 일자리 지원이나 자립자금 대여 등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법령상 지적 장애인은 지적 능력 불충분으로 사회생활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으로 정의하지만, 막상 시행규칙에는 '지능지수 70 이하'로 규정합니다.
B 씨의 지능지수는 72라, 이 선은 넘어 대상에서 빠지는 것입니다.
[임한결 변호사/B 씨 대리인 : 경계선 지능인 중 일부는 지적 장애인이 겪는 사회적 어려움과 동일합니다. 이분들을 장애의 틀 내에서 보호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거든요.]
"'이렇게 못났다' 보여야…발가벗는 기분" 고립된 사람들
입력 2025.02.03 07:33
수정 2025.02.03 07:38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