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ISSUE TV 네트워크

'경매 중단' 초유의 사태…산지 물김 값 폭락, 어쩌다?

스크랩 하기
경매 중단 초유의 사태…산지 물김 값 폭락, 어쩌다?
<앵커>

금값을 자랑했던 김의 시세가 올해 들어 폭락하고 있습니다. 한 달 만에 산지 물김 가격이 10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하자 경매가 중단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위판장에 나온 물김은 모두 폐기 처리됐습니다.

하원호 기자입니다.

<기자>

대형 크레인이 갓 수확한 물김을 뭍으로 끌어올립니다.

하지만 활기를 띠어야 할 위판장에는 깊은 한숨이 가득합니다.

120kg들이 한 망의 가격이 2만 원 초반대까지 떨어지자 경매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결국, 위판장에 나온 물김, 228t은 모두 폐기 처리됐습니다.

산지 물김 값이 폭락하자 군산지역 김 생산 어민들은 하루 5, 6천 망이던 위판량을 2천 망 이하로 줄였지만, 김값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달, 120kg 한 망에 최고 40만 원 선에 거래됐던 물김은 이달 들어 3만 원 선으로 떨어졌습니다.

불과 한 달 만에 물김 값이 폭락한 데는 정부의 책임이 적지 않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김값이 폭등하자 김 양식장 2천700ha를 추가로 허가했습니다.

김 가공 시설은 그대로여서 물김 생산이 급증하자 가격 폭락 사태가 벌어진 겁니다.

[박재성/군산수협 비응항위판장장 : 수요와 공급이 맞아야 하는데 공장에서도 가공할 수 있는 그런 여력에 여유가 없습니다. 꽉 차버린 상태이기 때문에.]

물김을 제때 수확하지 않으면 양식장 어구가 파손될 수 있고, 사나흘 이상 보관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출하량을 조절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

김 생산 어민들은 정부가 대책 없이 김 양식장을 늘려 도산 위기에 처했다며 대책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김영현/군산수협 김생산자협의회장 : 기름값도 안 되고, 인건비도 안 되고. 이대로 가다가는 설 안에 전부 다 지금 생산자들이 주저앉게 생겼습니다.]

바다의 검은 반도체로 불리며 몸값을 높였던 것도 잠시, 과잉 생산과 홍수 출하로 양식 어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유지영 JTV, 디자인 : 원소정 JTV)

JTV 하원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프 깐깐하게 우리동네 비급여 진료비 가장 싼 병원 '비교 검색'
댓글 아이콘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