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수백 명 인명 구한 설악산 털보 산장지기…유창서 씨 별세

스크랩 하기
수백 명 인명 구한 설악산 털보 산장지기…유창서 씨 별세
▲ 1983년 권금성 산장지기 시절의 고인

설악산 '권금성산장'의 털보 산장지기로 유명한 산악인 유창서(劉昌瑞)씨가 16일 오후 5시쯤 강원도 속초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오늘(17일) 전했습니다.

향년 87세입니다.

1938년 10월30일 서울 종로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4년 배재중에 다닐 때 암벽 등반에 입문했습니다.

동국대에 들어가 이 대학 산악부 초기 멤버로 활약했습니다.

1969년 2월 한국산악회의 '설악산 죽음의 계곡 10동지 조난사고' 수습에 나선 걸 계기로 같은해 가을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설악산으로 들어갔습니다.

1971년 1월15일부터 2009년까지 38년 5개월간 설악산 화채능선(대청봉에서 시작해 화채봉 등의 봉우리를 지나 권금성까지를 잇는 능선) 끝쪽에 권금성산장을 운영했습니다.

불법 산행을 조장하지 않겠다며 숙박은 거부하고 최소한의 음료와 물품만 팔았습니다.

술이나 음식도 팔지 않았습니다.

1976년 대한적십자사 설악산 산악구조대를 창설해 초대 대장이 됐고, 수많은 인명을 구조했습니다.

1983년 2월19일자 연합통신 기사('설악산 지키는 권금산장 털보 산사나이 유창서 씨')에 따르면 이때까지 구조한 사람만 440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대한산악연맹이 매년 여름과 겨울에 개최한 '설악산 등산학교'의 교관으로도 활동했습니다.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에델바이스 서식처 5곳을 찾아냈고 크낙새와 산양 등의 서식 실태도 알아냈습니다.

1994∼1998년 한국산악동지회 2대 회장을 지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003년 화채능선을 법정 탐방로에서 제외하면서 산장 철거를 통보하자 2008년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습니다.

2009년 산장 문을 닫고 속초에서 살았습니다.

2015년 국립산악박물관이 '권금성 털보 산장지기 산악인 유창서의 설악에 살다'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습니다.

권금성산장 현판 등 소장품은 국립산악박물관에 기증했습니다.

산장을 찾은 이들이 남겨놓은 메모의 사연을 묶어서 책 '바람이여 구름이여 설악이여'(1990), '산장에 남긴 사연들'(1992)을 펴냈습니다.

1981년 권금성산장을 기반으로 수많은 인명을 구한 공로로 국민훈장 석류장을 받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프 깐깐하게 우리동네 비급여 진료비 가장 싼 병원 '비교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