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약제비 지출이 직전 연도 대비 8.5% 늘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3년 급여의약품 지출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약품비는 26조1천966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해 전체 진료비는 110조8천29억 원으로 전년보다 4.7% 늘어났는데, 약품비 증가율(8.5%)이 이의 2배 가까이 증가한 셈입니다.
진료비 중 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23.6%로 전년보다 0.8%포인트 늘었습니다.
우리나라 경상 의료비 중 의약품 지출 비용은 18.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4.2%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입니다.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 따라 약제비 부담이 큰 암과 희귀질환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확대가 약품비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환자의 약품비가 약 6조6천억 원(25.2%)으로 가장 많았고, 70대(19.7%), 50대(16.9%), 80대(11.7%) 순이었습니다.
효능군별로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동맥경화용제 지출 규모가 2조8천490억 원으로 규모가 가장 컸습니다.
이어 항악성종양제(2조7천336억 원), 혈압강하제(2조 원), 소화성궤양용제(1조3천904억 원), 당뇨병용제(1조3천667억 원)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2023년 건강보험 약품비 약 26조 원…지출 1위 고지혈증 치료제
입력 2025.01.16 12:53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