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 정부와 업계는 미국의 수출통제가 당장 국내 기업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시장인 데다가 앞으로 미국이 이런 통제 수위를 더 높일 수 있어서 서둘러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 내용은 김지성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전 세계 HBM 시장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사실상 양분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대부분 TSMC를 거쳐 엔비디아 등 미국 업체에 공급하기 때문에 미국의 수출 통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영향권에 들어갑니다.
로이터통신은 삼성 HBM 매출의 약 2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영향은 이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정부와 업계는 내다봤습니다.
엔비디아의 GPU 같은 다른 칩과 함께 패키징된 HBM은 이번 통제 대상에서 제외됐는데, 중국으로 가는 삼성전자의 HBM 중 상당수가 이런 식으로 패키징돼 수출된다는 겁니다.
[노근창/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 : 로직칩에 탑재되는 HBM을 (통제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도 미국 정부로부터 '검증된 최종 사용자' 승인을 받은 상태여서, 장비 반입에도 문제가 없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그렇다고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전 세계 HBM 시장 규모 자체가 줄어들 수 있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 미국의 수출 통제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대중국 저사양 칩 수출에서 벗어나 미국 빅테크로의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동원/KB증권 리서치본부장 : 중국과의 중저가 가격 경쟁을 지양하고 HBM3E(5세대), HBM4(6세대), LPDDR5X 같은 고부가 반도체로 제품 구조 전환을 가속화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SK하이닉스는 주가가 4% 가까이 오른 반면, 삼성전자는 보합으로 마감된 것도 미국 빅테크 공급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반영된 걸로 풀이됩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김세경, 영상편집 : 정용화, 디자인 : 장성범·최재영)
K 반도체 수출길은?…"삼전, 미 빅테크 뚫어야"
입력 2024.12.03 20:12
수정 2024.12.03 22:04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