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정 모(33) 씨는 아이 둘과 외출하면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아기 기저귀를 갈아줄 수 있는 화장실을 찾기 어려워서입니다.
아내와 함께 외출해서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아빠가 기저귀를 교환하려고 해도 남자화장실엔 교환대가 없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결국 아내가 '기저귀 미션'을 맡습니다.
정 씨는 "혼자 외출했을 때 남자화장실에 교환대가 따로 없어서 아이를 안고 기저귀를 가느라 진땀을 뺀 기억이 많다. 말하면서도 진땀이 난다"고 했습니다.
직장인 김 모(33) 씨도 "화장실에 교환대가 없어서 건물에 한두 개뿐인 수유실을 엘리베이터로 이동하며 찾다가 시간이 한참 걸리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교환대가 비교적 잘 돼 있는 쇼핑몰을 자주 찾게 된다고도 했습니다.
남녀 모두가 사용할 수 있고 교환대까지 갖춰진 '가족 화장실'이 있는 쇼핑몰을 특히 애용합니다.
실제로 남자 화장실에는 기저귀 교환대가 적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27일) 정부 공공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집계된 서울시 개방 및 공중화장실 3천708곳 중 1천123곳(30%)에 교환대가 있었습니다.
3곳 중 1곳에 불과했습니다.
이 가운데 남자·여자 모두 교환대가 설치된 화장실은 525곳입니다.
또 여자만 설치된 곳은 575곳이었고, 남자만 설치된 화장실은 23곳으로 극소수였습니다.
이를 합산하면 여자화장실(1천100곳)이 남자화장실(548곳)보다 교환대가 2배 가까이 많은 셈입니다.
'아빠 육아'가 일상화하고 있지만, 정책이나 예산 결정권자들의 인식은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결과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육아종합지원본부장은 "결국 인식의 문제"라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전국 화장실 교환대 설치 사업에 일일이 돈을 지원해주긴 어렵다. 결국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 관심이나 자체 캠페인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100만 원이면 충분히 튼튼한 교환대를 설치할 수 있다"며 정책·예산 결정권자들은 정작 육아 현실을 체감하지 못하는 연령대가 대부분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남녀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가족 화장실'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최근에 생긴 쇼핑몰이나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서는 가족 화장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박창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북유럽만 가도 가족 화장실을 쉽게 찾을 수 있다"며 "아빠나 엄마뿐 아니라 할아버지, 할머니가 아이를 키우는 보호자인 경우도 많기 때문에 양육자가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아빠는 아기 기저귀 갈면 안 되나…여자화장실에 쏠린 교환대
입력 2024.11.27 07:24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