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3분기 가계빚 1천914조 원 '역대 최대'…수도권 영끌 등에 18조↑

스크랩 하기
3분기 가계빚 1천914조 원 '역대 최대'…수도권 영끌 등에 18조↑
올해 3분기(7∼9월)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 열기가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전체 가계 빚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은행권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나서고 금융당국도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9월부터 시행했지만, 가계 빚 억제 효과는 4분기에나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13조 8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분기 말(1천895조 8천억 원)보다 18조 원 많을 뿐 아니라,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입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지난해 2분기(+8조 2천억 원)·3분기(+17조 1천억 원)·4분기(+7조 원) 계속 늘다가 올해 1분기 들어서야 3조 1천억 원 줄었지만, 곧 반등해 두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증가 폭도 2분기(+13조 4천억 원)보다 3분기(+18조 원)에 더 커졌습니다.

2021년 3분기(+35조 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입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천795조 8천억 원으로 전 분기 말(1천779조 8천억 원)보다 16조 원 불었습니다.

역시 2021년 3분기(+34조 8천억 원)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12조 1천억 원)이 19조 4천억 원 급증했습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잔액 683조 7천억 원)의 경우 3조 4천억 원 줄어 열두개 분기 연속 뒷걸음쳤습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59조 2천억 원)이 석 달 사이 22조 7천억 원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이 22조 2천억 원 불었고, 기타 대출까지 5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04조 3천억 원)은 1조 7천억 원 줄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9천억 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 6천억 원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32조 4천억 원)도 4조 9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보금자리론 등이 상환되고 증권사 신용공여가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입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증가 배경에 대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작년 4분기 5만 3천 호에서 올해 1분기 5만 9천 호로 늘었고, 2분기와 3분기 각 8만 3천 호, 9만 6천 호로 뛰었습니다.

향후 추세와 관련해서는 "당국의 2단계 스트레스 DSR 등 거시 건전성 정책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으로 9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수도권 주택 거래 증가 속도도 더뎌진 만큼, 주택거래에 1∼3개월 후행하는 주택담보대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대출 증가세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3분기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 잔액(118조 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 위주로 2조 원 증가했습니다.

김 팀장은 "추석 연휴 등에 신용카드 사용 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이슈를 한입에 쏙! 김밥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