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공포의 들개가 된 유기견
최근 도심에 들개가 자주 출몰하여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경기도 평택의 고덕 신도시에서는 개발 이후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들개의 출몰이 잦아져, 아파트 단지와 공원 인근까지 활보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주민들은 올해부터 '들개 포획의 날'까지 지정해 직접 포획 작전에 나섰다. 들개 때문에 아이들의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는 건 대구 동구 혁신도시에서도 마찬가지다. 10마리가 넘는 들개 떼가 밤중에 도로와 유치원 인근까지 출몰하면서 학부모와 아이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실제 들개 공격으로 사람이 다치는 사고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월, 부산 한 아파트 단지 내에선 산책에 나선 남성이 들개 두 마리의 습격을 받아 팔과 다리에 큰 상처를 입었다. 앞서 지난 1월 부산 진구 시민공원에서는 한 20대 남성이 들개에게 얼굴을 물려 50바늘이나 꿰맨 사고도 있었다. 대전에서는 들개들이 고라니를 사냥하는 충격적인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공통점은 모두 들개화한 유기견에 의해 발생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반려 인구가 늘면서 한 해 유기견이 8만 마리까지 증가한 사실을 핵심 원인으로 보고 있다. 버려진 유기견이 들개가 되고 먹이를 찾아 야생에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공격성도 강해진다는 것이다.
지자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들개감소 대책을 무색하게 하는 엄청난 시한폭탄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바로 2027년부터 시행될 개식용 종식법 이후 남겨질 식용견 문제다.
개식용금지 시행, 남겨질 식용견 46만 마리는?
입양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식용견이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의 낙관적인 기대와는 달리 취재진이 찾은 개 농장의 경우 오히려 키우는 개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으며, 개 농장주들은 남는 개는 풀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하루빨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고통스러운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번 주 <뉴스토리>는 지속되는 도심 속 들개 문제 가운데, 개식용 금지 정책 시행 후 식용견 46만 마리 관리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과 필요성에 대해 짚어본다.
댓글 아이콘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