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날 예정된 당무위원회에서 논의될 '당원 1인 1표제'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민주당이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동등한 1표로 맞추기 위해 추진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다음 달 5일 중앙위원회에서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당초 오는 28일 중앙위에서 개정안 처리를 마무리하려 했지만, 개정이 충분한 숙의 없이 진행된다는 당내 우려가 제기되자 속도 조절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국회 당무위원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1인1표제 도입과 관련해 당원들의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어떻게 보완할지 논의가 필요하다"며 "중앙위 소집을 당초 11월 28일에서 12월 5일로 일주일 연기하는 안에 대해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1인 1표제 도입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최고위와 당무위, 중앙위 의결을 차례로 거쳐 최종 확정됩니다.
지난 21일 최고위 의결을 거쳐 당무위에서도 해당 안건이 의결됐지만, 일부 당원들의 이견이 나온 만큼 중앙위 차원의 최종 의결은 일단 연기했다는 설명입니다.
조 사무총장은 "공개든 비공개든 다른 의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서면이나 현장에서 의견을 내신 분도 있었다"며 "그런 것을 다 수용해서 논의 시간을 갖자는 것을 정청래 대표가 수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의원제를 보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고, 취약 지역에 대한 배려 조항을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에서도 보완했다"며 "다만 구체성 등을 담아달라는 의견이 있어서 이를 수용할 생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오늘(24일) 비공개 당무위에서는 당헌·당규 개정 내용과 절차를 두고 격한 토론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헌·당규 개정의 대의에는 동의하더라도 보완책 마련이 미비한 상황에서 이번 주에 처리하는 것은 '졸속 강행'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 겁니다.
토론 과정에서 김병기 원내대표는 중앙위를 연기하는 한편 온·오프라인 회의로 의견 참여와 토론을 병행해 일종의 정당성을 다지자는 취지의 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당무위에 앞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개 발언을 통해 "1인 1표제에 대한 찬반 문제라기보다는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취약 지역에 대한 전략적 문제가 과소 대표되는 점 등이 논란의 핵심"이라며 "수십 년간 운영해온 제도를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폐지하는 게 맞느냐"라고 비판했습니다.
결국 당은 오후에 당무위를 재차 열어 중앙위원회 일정을 다음 달 5일로 변경하는 안건을 처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