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당내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당원 주권 시대를 열겠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진행하고 있는 당헌·당규 개정 추진에 대해 지도부 내에서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늘(21일) 민주당은 당헌·당규 개정안을 오는 24일 열릴 당무위원회에 부의해 개정 절차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해당 개정안에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할 때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하도록 규정하는 조항을 삭제하는, 즉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표의 가치를 같게 하는 이른바 '1인 1표제'를 추진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최고위원회의 오늘 비공개 논의 과정에서, 복수의 지도부 인사들이 이 절차를 곧바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 반대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했던 한 인사는 SBS에, "당원들이 문제 제기를 하고 있고 전 당원 여론조사의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볼 때 반대 분위기가 있으니 숙고를 좀 더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그런 의견을 제시한 최고위원들이 상임위 참석 등을 이유로 자리를 비운 사이 의결이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
당원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른바 '취약 지역'들의 목소리를 대의원제가 보완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번 개정 방향이 사실상 대의원제를 폐지하는 식으로 큰 변화를 주는 것인 만큼 급하게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 비공개 최고위 회의에서 나왔는데, 그런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셈입니다.
또 다른 인사 역시 "일부 최고위원들이 자리에서 먼저 일어나면서 보완 대책에 대해 논의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이의 제기가 있었지만, 민주당은 예정된 절차를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혼란이 있을 수 있어 진행을 하되 더 보완할 수 있는 내용은 대의원 역할재정립TF를 구성해 향후 반영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민주당 관계자는 SBS에, "당헌·당규 개정 내용 자체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 나온 게 아니라 얼마라도 숙의 기간을 갖자는 취지의 의견이었다"면서 당헌·당규 개정안에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 역시 오늘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지시에 따라 황명선 최고위원을 단장, 이해식 전략기획위원장을 부단장으로 하는 해당 TF를 꾸려 핵심적 당원인 대의원들의 역할을 어떻게 해 나갈지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 방안에는 대의원 정책자문단을 신설해 국회법이 정하는 상임위원회 소관사항에 대해 자문을 할 수 있게 하겠단 내용 등이 포함될 걸로 알려졌습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해 지난 19일부터 이틀 동안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투표를 진행했고, 특히 이 가운데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6.8%가 찬성, 13.2%가 반대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 내년 지방선거 광역·기초의원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방식을 각급 상무위원 투표에서 권리당원 100% 투표로 변경하는 안은 찬성 88.5%, 반대 11.5%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이 당원 투표의 참여율이 16.8% 정도로 높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그 정당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또,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하는 통상적인 당원 투표와 달리 지난달 당비 납부 당원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하면서 자격 기준 논란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번 개정이 이뤄지면 지난 전당대회에서 상대적으로 대의원에 비해 당원 지지세가 강했던 정청래 대표가 내년 당 대표 선거 연임에 도전할 경우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해석도 정치권 일각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