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를 할 때 물을 빨리 끓이기 위해 온수 수돗물을 사용하는 경우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요리할 때 온수 수돗물을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온수는 냉수와 달리 노후된 보일러 관을 거쳐 나오기 때문에 중금속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서울아리수본부 관계자: 온수 배관은 음용 목적이 아니고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배관 설치 목적이 다르고 부식도 많이 되고 열을 가온하기 위해서 그 안에 또 다른 금속 배관이 또 들어 있거든요 거기를 통과하면서 또 물이 안 좋아지는 거죠. ]
실제로 온수에서 더 많은 중금속이 나오는지 실험해 봤습니다.
준공 40년 된 아파트에서 온수와 냉수를 각각 채취해 전기 자극을 이용해 납 검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 냉수 대비 온수에서 더 큰 반응 신호가 나타났습니다.
온수의 경우 냉수보다 2배 이상 많은 납 성분이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온수의 납 농도는 기준치의 절반 수준으로 즉각적인 위험은 없었지만,
장기간 노출될 경우 신장 기능 저하와 신경계 손상 등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준영 / 내과 전문의: 저농도라도 지속적으로 장기간 노출되면 신장 기능 저하, 신경계 손상처럼 만성 독성이 문제가 됩니다 특히 납이나 카드뮴은 뼈, 신장 등에 결합해 수년 이상 체내에 잔류할 수 있습니다. ]
이 때문에 안전하게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식 조리 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냉수라도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약 30초 정도 물을 흘려보내 배관 속 고인 물과 불순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박진성 /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교수: 수돗물 자체는 안전한 기준을 다 맞춘 걸로 알고 있거든요 물을 좀 흘려보낸 이후에 사용한다면 중금속들이 줄어드는 효과를 더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취재: 채수연 / 구성: 노은정(인턴) / 영상편집: 김수영 / 디자인: 이수민 / 제작: 모닝와이드3부)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