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한동안 가격 상승세 둔화가 관측된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오름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출규제 강화와 2년 실거주 의무로 거래가 위축되고 매물은 줄었지만 '똘똘한 한 채' 수요는 여전한 상황에서 선호지역 중심으로 일부 거래가 높은 가격에 이뤄지는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올랐습니다.
상승률은 1주 단위 기준으로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같은 달 넷째 주(10월27일 기준) 0.23%,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0.19%에 이어 직전 주에는 0.17%까지 축소 흐름을 이어가다 4주 만에 다시 확대됐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위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말했습니다.
성동구(0.37%→0.43%)가 행당·성수동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키운 것을 비롯해 양천구(0.27%→0.34%), 강서구(0.14%→0.18%), 광진구(0.15%→0.18%) 등의 오름폭이 확대됐습니다.
10·15 대책 시행 전 이미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묶여 '내성'이 강할 것으로 관측됐던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용산구는 모두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송파구(0.47%→0.53%)와 용산구(0.31%→0.38%)의 상승률이 서울 전체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기록했고 서초구(0.20%→0.23%)와 강남구(0.13%→0.24%)도 오름폭을 확대했습니다.
노원구(0.01%→0.06%), 도봉구(0.03%→0.05%), 강북구(0.01%→0.02%), 금천구(0.02%) 등 서울 외곽지역에서는 일부 상승폭 확대도 관찰됐으나 타지역 대비 상승률은 낮은 수준입니다.
경기도 전체(0.10%→0.11%)로는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이 소폭 커진 가운데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규제지역 중 과천시(0.40%→0.35%)와 성남시 분당구(0.58%→0.47%), 하남시(0.36%→0.21%), 안양시 동안구(0.21%→0.19%) 등은 상승폭이 축소된 반면 의왕시(0.08%→0.38%), 성남시 수정구(0.07%→0.29%)와 중원구(0.08%→0.14%), 광명시(0.16%→0.38%), 용인시 수지구(0.24%→0.42%) 등은 오름폭이 커졌습니다.
의왕시는 2021년 10월 넷째 주 0.39%를 기록한 이후 약 4년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비규제지역에서는 풍선효과 대표 지역으로 꼽힌 화성시(0.25%→0.36%)는 상승폭이 확대됐으나 구리시(0.33%→0.24%), 용인시 기흥구(0.30%→0.12%) 등은 오름세가 둔화했습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전세 낀 매물이 사라지면서 거래 잠김 효과가 발생하지만 소수 매물이 거래되면서 신고가가 나오는 이상 현상 때문"이라며 "거래가 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은 크게 오르기보다 박스권 상단에서 횡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천(0.04%)은 직전 주와 상승폭이 같았고, 수도권 전체(0.11%→0.13%)로는 오름폭이 소폭 커졌습니다.
지방(0.01%→0.02%)은 3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5대 광역시(0.01%→0.02%)와 세종(0.02%→0.06%), 8개 도(0.01%→0.02%) 모두 상승폭을 확대했습니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0.07% 올랐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8% 올라 직전 주와 상승률이 동일했습니다.
서울은 3주째 0.15% 상승률을 이어갔습니다.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가운데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학군지 위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며 전체적으로 가격이 올랐습니다.
인천(0.08%→0.11%)과 경기(0.10%→0.11%)는 오름폭이 커졌고, 수도권 전체로는 0.12% 상승했습니다.
지방(0.04%)은 직전 주와 상승폭이 동일했습니다.
5대 광역시는 0.07%, 8개 도는 0.01% 각각 올랐고 세종은 대단지 위주로 임차 수요가 지속되며 0.37% 상승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