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우디 빈살만 "1조달러 투자"…7년만의 방미환대 트럼프에 선물

사우디 빈살만 "1조달러 투자"…7년만의 방미환대 트럼프에 선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1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양자 회담을 갖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18일(현지시간) 대미 투자액을 기존에 발표했던 6천억 달러(약 876조 원)에서 1조 달러(약 1천460조 원) 규모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는 이날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갖고 이 같은 계획을 직접 밝혔습니다.

빈 살만 왕세자는 대미 투자 규모와 관련, "우리는 6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거의 1조 달러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취임 뒤 5월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6천억 달러 규모 투자 합의를 끌어냈는데, 사우디가 당초 예정된 금액에서 4천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힌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의 발언에 "당신과 친구가 된 것은 큰 영광"이라며 "이제 1조 달러에 이르는 투자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두 사람은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간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한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참여할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고, 빈 살만 왕세자는 "우리는 모든 나라와 관계를 정상화하는 일이 좋은 일이라고 믿고, '아브라함 협정'의 일원이 되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빈 살만 왕세자는 "하지만 우리는 동시에 '두 국가 해법'을 위한 명확한 길이 보장하도록 확실히 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허용해야 한다는 사우디의 종전 입장을 재확인한 겁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불가하다는 입장이어서 이스라엘과 사우디 간 국교 정상화를 위한 아브라함 협정 확대 가능성은 현재로선 작아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10월,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로 활동한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 배후에 빈 살만 왕세자가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직접 반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사람(카슈끄지)은 매우 논란이 큰 인물이었다. 많은 사람이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며 "그(빈 살만 왕세자)는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밝힌 뒤 질문을 한 기자에게 "손님을 당황하게 하는 질문을 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빈 살만 왕세자를 카슈끄지 암살의 배후로 판단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가 이 사건과 무관하다고 주장한 겁니다.

그러면서 질문한 ABC 방송 기자에게 "끔찍한 기자"라며 "ABC 방송은 가짜 뉴스이기 때문에 면허를 박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면박을 줬습니다.

빈 살만 왕세자는 "그 사건의 주된 목적은 단 하나, 미국과 사우디 관계를 무너뜨리는 것이었다"며 "그 이야기를 믿는 사람은 오사마 빈 라덴을 돕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해당 암살 사건에 대해 "매우 고통스러운 사건이었고 큰 실수였다"며 "우리는 그 사건에 대해 적절한 조사를 진행했고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