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송전망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도내 곳곳에서 불거지고 있습니다. 입지선정위원회 단계부터 주민 배제 논란이 이어지면서 회의가 파행되거나, 백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주민 반발이 확산하면서 갈등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읍에서 충남 계룡을 잇는 345kV의 초고압 송전선로.
송전탑을 어디에 세울지, 세부 설치 계획이 논의될 예정이었지만 시작 전부터 주민들의 반응은 싸늘합니다.
주민들은 사전에 아무런 설명도 없이 이제 와 송전선로 위치를 정하라는 건 송전탑 설치를 강요하는 거라며 계획 자체를 백지화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박성래/완주군 송전탑백지화 추진위원회 : 백지화하고 다시 처음부터 주민하고 소통하자 이거예요. 우리가 모르는 주민 대표들이 가서 했으니까 그거 무시하고.]
지난 13일 부안에서도 변산과 정읍을 잇는 송전선로 건설 입지선정위원회가 열렸지만 정읍 쪽 주민들이 참석하지 않아 파행으로 끝났습니다.
[김관영/고압송전탑반대 정읍대책위 집행위원장 : 사전에 지역 주민하고 충분한 내부적 합의 없이 2단계 입지 선정위원회를 빠르게 지금 진척을 시키고 있거든요. 그래서 거기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서.]
이처럼 도내 곳곳에서 한전과 지역주민들이 송전선로 건설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이정현/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 사전 설명도 없고 회의 과정도 공개하지 않다 보니까 주민의 요구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는 그런 비민주적인 입지 선정위원회다.]
아무런 사전 설명도 없이 날벼락처럼 떨어진 송전선로에 대한 주민들의 저항감이 크기 때문에 계획 단계부터 주민 참여를 의무화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유지영 JTV)
JTV 강훈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